프랑스가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진 '소똥구리'를 다른 지역에서 들여와 방사한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자연에서 사라진 소똥구리를 되살리기 위해 몽골에서 채집해온 200마리를 방사할 계획이다.
17일 환경부 국립생태원에 따르면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몽골에서 가져온 소똥구리 200마리를 오는 9월 적합한 서식지를 선정해 방사하기로 했다.
지난 4월 국립생물자원관이 발간한 '국가생물자료집 곤충 Ⅱ·Ⅲ'에 따르면 소똥구리는 '지역절멸'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절멸이란 '지역 내 잠재적 번식능력을 가진 마지막 개체가 죽거나 지역 내 야생에서 사라져 버렸다는 점을 의심할 이유가 없는 경우'를 뜻한다.
소똥구리는 한반도 전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지만 서식지 훼손과 합성사료 속 화학물질 등에 노출되면서 개체수가 줄어 1969년 8월 이후 공식적으로 채집된 적 없다. 그러면서 1970년대 이후 멸종 판정을 받았다.
소똥구리는 똥을 먹고 사는 딱정벌레다. 말똥을 제일 좋아하지만, 인분(人糞)도 먹는다. 알을 낳을 때는 똥으로 '경단'을 만들어 굴린다. 경단을 굴려야 하다 보니 피복도(식물이 표면을 덮은 정도)가 20∼40%로 낮고 물기가 많지 않은 모래벌판에 산다.
센터는 이런 습성에 알맞은 방사지를 선정 중이다. 현재까지 서식지 적합도 평가를 받은 곳은 태안군 신두리사구, 제주시 해안동·노형동, 장흥군 운주리, 신안군 자은도 등이다.
센터는 2019년부터 소똥구리 복원을 추진해왔는데, 당시까지만 해도 소똥구리가 수입금지 대상이라 연구목적으로만 들여올 수 있었다. 소똥구리에 대해 알려진 내용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이때 도입된 소똥구리는 생활사와 한국 생태계 적응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됐다.
이후 소똥구리 수입금지가 해제됐고 지난해 몽골에서 소똥구리 230마리를 도입해 증식하면서 복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센터는 지난달 300마리를 잡아왔고, 이달말에도 몽골로 떠나 300마리를 추가 채집해올 예정이다.
여기에 국내에서 증식한 개체까지 합하면 1000마리 정도 된다. 센터는 이 중 200마리를 오는 9월 서식지에 방사할 예정이다. 한 번에 200마리를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것은 여러 세대에 걸쳐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 개체수, 즉 유효 개체군 크기를 200마리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소똥구리 복원 필요성은 이들이 생태계에서 청소부 역할을 한다는 데 있다. 소똥구리가 먹지 않은 대형초식동물 분변은 분해되지 않은 채로 지표면에 남아있다가 비가 오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 또 소똥구리는 똥으로 경단을 만들어 굴린 뒤 땅에 묻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 걸쳐 깊은 토양까지 유기물질과 영양분을 공급해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