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수량 정량화되면 자연기반해법 육성 추진
환경부가 산림, 습지, 도시 등 국내 육상생태계의 탄소흡수량을 정밀 측정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28일 환경부는 2023~2027년 육상생태계 탄소흡수 능력을 정밀하게 관리하기 위한 '생태계 기반 탄소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5년간 총 사업비 350억원을 투입해 산림·농경지·초지·정주지(도시) 등 생태계 유형별 탄소흡수량 측정·평가 방식을 고도화한다.
탄소흡수량을 측정할 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한국 생태환경에 맞도록 개선한다는 취지다.
예컨대 담수습지는 국제적으로 '탄소배출원'으로 간주된다. 농경지 개간이나 폐수로 오염돼 파괴된 습지는 메탄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식물 생태가 잘 보존된 습지는 산림보다 이산화탄소 저장량이 5배 높은 주요 '탄소흡수원'이다.
국내 내륙습지가 2704곳에 달한다. 이들이 탄소흡수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또 파괴된 습지를 되살려 탄소배출원에서 탄소흡수원으로 전환시키는 일은 우리나라 탄소중립 목표 추진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이에 환경부는 습지 뿐 아니라 토양유기물, 수목 및 수목유기물(낙엽, 고사목) 등 육상생태계의 탄소흡수량 측정·평가·검증 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소관 부처별로 관리하고 있는 탄소흡수량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환경부는 습지, 농림부는 농경지·초지, 국토부는 정주지, 산림청은 산림 등 각 부처가 서로 다른 생태계 유형을 따로 관리하고 있다.
실제로 이미 환경부는 습지에 한해 탄소흡수량 평가를 고도화하는 사업을 작년부터 진행중이다. 현재 하천·구거(도랑)·유지(연못) 등 탄소배출원으로 분류되는 내륙습지는 사업이 마무리되면 탄소흡수원으로도 인정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처럼 육상생태계의 탄소 흡수·배출 기능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해지면 복원을 통해 흡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2024년부터 '자연기반해법'(NbS)을 적용해 생물다양성과 탄소흡수 능력을 높이기 위한 '생태계 유형별 자연기반해법 기반 탄소흡수 증진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자연기반해법은 기후위기·환경오염·자연재해·생물다양성감소 등 문제를 생태계 보호·복원·관리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박소영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탄소흡수능력 측정 고도화는 IPCC에서 제시된 것처럼 국제사회에서 요구되는 과업"이라며 "우리나라가 측정한 탄소흡수량이 국제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도록 기술개발을 조속히 수행하고, 생물다양성과 탄소흡수능력이 함께 고려되는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과학적인 근거 개발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