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한국형 '생태계 탄소측정기술' 개발 나선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28 16:45:06
  • -
  • +
  • 인쇄
측정·평가·검증 고도화에 5년간 350억원
흡수량 정량화되면 자연기반해법 육성 추진
▲강원 양구군 파로호 습지 내 한반도 모양 인공섬 '한반도섬'. (사진=연합뉴스)


환경부가 산림, 습지, 도시 등 국내 육상생태계의 탄소흡수량을 정밀 측정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28일 환경부는 2023~2027년 육상생태계 탄소흡수 능력을 정밀하게 관리하기 위한 '생태계 기반 탄소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5년간 총 사업비 350억원을 투입해 산림·농경지·초지·정주지(도시) 등 생태계 유형별 탄소흡수량 측정·평가 방식을 고도화한다.

탄소흡수량을 측정할 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한국 생태환경에 맞도록 개선한다는 취지다.

예컨대 담수습지는 국제적으로 '탄소배출원'으로 간주된다. 농경지 개간이나 폐수로 오염돼 파괴된 습지는 메탄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식물 생태가 잘 보존된 습지는 산림보다 이산화탄소 저장량이 5배 높은 주요 '탄소흡수원'이다.

국내 내륙습지가 2704곳에 달한다. 이들이 탄소흡수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또 파괴된 습지를 되살려 탄소배출원에서 탄소흡수원으로 전환시키는 일은 우리나라 탄소중립 목표 추진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이에 환경부는 습지 뿐 아니라 토양유기물, 수목 및 수목유기물(낙엽, 고사목) 등 육상생태계의 탄소흡수량 측정·평가·검증 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소관 부처별로 관리하고 있는 탄소흡수량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환경부는 습지, 농림부는 농경지·초지, 국토부는 정주지, 산림청은 산림 등 각 부처가 서로 다른 생태계 유형을 따로 관리하고 있다.

실제로 이미 환경부는 습지에 한해 탄소흡수량 평가를 고도화하는 사업을 작년부터 진행중이다. 현재 하천·구거(도랑)·유지(연못) 등 탄소배출원으로 분류되는 내륙습지는 사업이 마무리되면 탄소흡수원으로도 인정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처럼 육상생태계의 탄소 흡수·배출 기능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해지면 복원을 통해 흡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2024년부터 '자연기반해법'(NbS)을 적용해 생물다양성과 탄소흡수 능력을 높이기 위한 '생태계 유형별 자연기반해법 기반 탄소흡수 증진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자연기반해법은 기후위기·환경오염·자연재해·생물다양성감소 등 문제를 생태계 보호·복원·관리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박소영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탄소흡수능력 측정 고도화는 IPCC에서 제시된 것처럼 국제사회에서 요구되는 과업"이라며 "우리나라가 측정한 탄소흡수량이 국제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도록 기술개발을 조속히 수행하고, 생물다양성과 탄소흡수능력이 함께 고려되는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과학적인 근거 개발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佛 파리 면적의 1.5배가 '잿더미'…기후변화가 빚은 산불

프랑스 남부에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파리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기후변화로 발생한 이례적인 가뭄이 산불로 이어졌다는 것이다.프

[주말날씨] 천둥·번개 동반한 '국지성 호우'...남부지방 최대 150㎜

이번 주말에 또다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호우가 내리겠다. 토요일인 9일 오후부터 일요일인 10일 오후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6일(현지시간) 유

장마철에 몰래 폐수 방류 '딱 걸렸다''...경기도 12곳 적발

장마철을 틈타 폐수를 방류한 업체들이 덜미를 잡혔다.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주요 폐수 배출사업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