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는 경제위기" 국회의원 99% 공감...그러나 의정활동은?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05 17:12:11
  • -
  • +
  • 인쇄
총선 310일 앞두고 국회의원 101명 설문
'대응했다' 35명, '대응하겠다' 29명 불과
▲5일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청년들이 대형 탄소를 짊어지며 국회의 기후위기 대응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그린피스)

우리나라 국회의원 대다수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정작 의정활동에 기후위기를 반영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그린피스가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 의뢰해 실시한 '국회의원 대상 기후위기 인식 설문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번 설문조사는 제21대 국회 재적의원 299명 가운데 101명이 응답했으며,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63명, 국민의힘 33명, 정의당 2명, 기본소득당·시대전환·무소속 의원 각각 1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응답자의 80.2%는 의정활동에서 '기후위기 대응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기후위기가 경제위기'라는 데 동의한 응답자는 99%에 달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RE100, 탄소국경세, ESG 공급망 실사 등 '국제 무역환경의 변화'를 선택한 비중이 45%로 가장 많았고, 보건위기, 식량위기, 국내총생산(GDP) 손실 등으로 인한 '시장 불안정'이 34%로 뒤를 이었다.

정부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치를 하향 조정한 데 대해서는 73.3%가 '불충분하다'고 응답했다. 또 기후위기가 불러올 주요 인권문제로 '미래세대의 생존권 위협'을 꼽은 국회의원은 53.2%에 달했고, '주거환경 열악으로 인한 불평등 심화'를 1순위로 놓은 비중은 34%로 뒤를 이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회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는 58.4%가 '기후위기 대응 관련 정책 및 법률 제정 개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처럼 대다수 의원이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의정활동에서 기후위기를 반영하는 비중은 매우 낮았다.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냐'는 주관식 문항에 어떤 방식으로든 기후위기 대응을 했다고 답변한 의원은 35명, 향후 대응활동을 하겠다고 응답한 의원은 29명에 불과했다. 대응 방식이 국회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인 '법제정 및 개정 활동'에 속하는 경우는 20.8%에 그쳤다.

이같은 설문결과에 대해 기후변화청년단체 '긱'(GEYK·Green Environment Youth Korea) 김선률 부대표는 "생명과 직결된 기후변화 대응은 이제 어떠한 법제나 정책보다 우선되어야 하는데 21대 국회에서 지난 2022년 발의된 기후변화 관련 법안의 상당수가 계류중이라는 사실은 수많은 의원들이 국민의 생명을 보장해야 한다는 기초적인 직무를 유기한 것"이라며 "국회가 청년을 비롯한 국민 최소한의 삶을 보장할 수 있는 기후변화 대응에 힘써주기를 간곡히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그린피스를 비롯한 GEYK,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빅웨이브 등 청년환경단체 3곳은 국회 앞에서 국회의원의 무관심을 지적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이들은 검은색 물감이 온몸에 뚝뚝 떨어지는 지름 2.5m 크기 탄소 조형물을 짊어진 채 기후위기를 떠안게 된 부담과 고통을 표현했다.

청년들은 퍼포먼스 이후 국회에 대한 요구사항을 담은 의견서를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전달했다. 의견서에는 현재 국회에서 계류중인 탄소세법안, 풍력발전 특별법안 등 탈탄소 경제 전환을 위한 법안의 통과, 탄소예산에 입각한 탄소중립기본법 개정, 탄소중립 이행 점검을 위한 국회 역할 강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청년들과 함께 이번 퍼포먼스와 설문조사를 기획한 이선주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국제사회가 합의한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로 제한하는 목표를 지키려면 미래세대는 더 많은 탄소감축 부담을 지게되는 동시에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에 더 많이 노출될 것"이라며 "총선이 310일 앞으로 다가온 현 시점에서 국회는 청년세대를 비롯한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현대百,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종자 35종 시드볼드에 기탁

현대백화점이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울릉도·독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민간기업 최초로 '백두대간 글로

이재상 하이브 대표 "K팝 넘어 K컬처로…글로벌 성장 선순환 이룰 것"

이재상 하이브 대표이사가 전세계 청년세대에게 K팝 방법론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역에 '문화·경제적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청사진을 제

기아, 전기 PBV 'PV5' 택배차량으로 본격 공급한다

내연기관 중심의 택배 차량들이 친환경 전기차량으로 전환된다. 기아는 자사의 친환경 전동화 모델인 목적기반차량(PBV) 'PV5'를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

기후/환경

+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목표만 있고 시간표는 없는 NDC...연도별 감축 로드맵 의무화해야"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모두 연도별 감축경로를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

AI로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 찾아준다

인공지능(AI)이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을 찾아내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와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1.5°C 목표 실패...아마존이 사바나될 것"...유엔 사무총장의 경고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지난 2015년 파리에서 전세계 정상들이 모여 합의한 '지구평균기온 1.5℃ 억제하자'는 목표는 이미 실패로 돌아갔다는 판단이

기후변화로 해양자본 갈수록 훼손...WEF "해양경제 붕괴 막아야"

세계경제포럼(WEF)이 기후변화와 오염으로 해양경제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경고했다.27일(현지시간) WEF가 공개한 보고서 '해양경제가 지속가능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