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내 썩는 기저귀·생리대 소재 개발됐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02 11:48:00
  • -
  • +
  • 인쇄
흡수력 4배...별도 퇴비화 시설없이 생분해 가능
▲펄프로 만든 고흡수성 소재 입자형(좌)과 필름형 (사진=국립산림과학원)


국내 연구진이 부피가 800배 늘어나고 2년만에 썩는 목재기반 친환경 기저귀·생리대 소재를 개발했다.

2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목재 펄프 기반 친환경 고흡수성 소재 제조기술'에 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혔다. 기존 석유화학원료 기반 상용 고흡수성 수지(SAP)보다 월등한 성능에 친환경성까지 갖춘 원천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SAP는 물을 흡수한 후에도 녹지 않고 부피의 200배 이상 팽창하는 백색가루 형태의 합성 화학물질이다.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애견패드, 신선제품 포장재 등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자연상태에서 분해되지 않아 매립시 토양오염을 유발하고 재활용도 쉽지 않아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이번에 국립산림과학원이 특허출원한 소재는 목재 원료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별도의 퇴비화 시설없이 자연상태에서 생분해가 가능하다. 또 물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다공성 구조로 돼 있어서 1g당 최대 800g의 물을 흡수할 수 있어, SAP에 비해 흡수력이 4배 높다.

국립산림과학원 한 관계자는 "펄프로 만들기 때문에 고온이나 미생물환경을 갖춘 별도 퇴비화 시설 없이 휴지나 종이처럼 2년내 분해된다"고 밝혔다.

연구를 진행한 국립산림과학원 임산소재연구과 이태주 박사는 "해당 원천기술을 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급 기술에 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며 "최근 그린슈머의 증가와 함께 친환경 소재에 관한 관심이 커진만큼 국민생활에 안전한 목재 기반 친환경 소재가 일상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최남수의 ESG풍향계] '독립이사'로 명칭 바뀌면 '거수기' 벗어날까?

상법 개정안이 지난 7월 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데 이어 공포됐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회사 감사위원의

카카오임팩트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9월 4일부터 3일간 기후기술 회의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기후기술과 AI, 미래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기후/환경

+

강릉 저수율 12.4%…비 안내리면 4주 내 바닥난다

남부 지방은 비 예보가 있지만 가뭄에 메말라가는 강릉은 아직도 비 소식이 없다. 지금 이대로 가면 4주 이내에 강릉의 저수율은 5% 밑으로 떨어질 것으

'최악 가뭄' 강릉 저수율 12.6%...평창 도암댐 물 활용논의

강원 강릉이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연일 급수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상수원은 계속해서 말라붙고 있다.강릉의 오봉저수지의 저수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아프간 이틀만에 또 6.2지진...세차례 지진에 사망자 '눈덩이'

아프가니스탄에 세 차례에 걸쳐 발생한 지진으로 사상자가 3600여명이 넘어섰다.독일 지구과학연구센터(GFZ)에 따르면 아프간 동남부 지역에 4일(현지시

[주말날씨] 이틀간 '100㎜' 퍼붓는다...가뭄 겪는 강릉은?

이번 주말에도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강한 비가 쏟아진다.토요일인 6일은 늦은 새벽 수도권과 충남권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돼 오전중에 강원 내륙&middo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