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량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90℃까지 치솟으면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폭염시 차량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5일 한국교통안전공단(TS)에 따르면 폭염으로 차량의 실내온도가 90℃까지 치솟게 되면 차량에 두고 내렸던 휴대폰 배터리나 보조배터리, 캔음료, 라이터 등이 가열되거나 폭발할 위험이 크다.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에 자동차 화재사고가 평소보다 10∼20% 증가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려면 창문을 조금 열어놓고 앞 유리창을 햇빛 가리개로 차단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공단에서 실험한 결과, 창문을 조금 열어둔 차량은 대시보드 온도가 6℃, 실내온도가 5℃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앞 유리창에 햇빛 가리개를 장착한 차량은 대시보드 온도가 20℃, 실내온도가 2℃ 떨어졌다.
유리창 면적이 적은 차량 뒤쪽 면 온도가 앞쪽보다 약 10℃ 더 낮게 나왔다. 따라서 한쪽만 햇빛을 받는 장소에 주차하는 경우라면 차량 앞쪽보다 뒤쪽을 햇빛에 노출하는 편이 낫다.
장시간 실외주차로 이미 실내온도가 높아진 경우에는 동승석 창문을 열고 운전석 문을 여러 번 여닫는 것이 효과가 있다. 세 번만 여닫았을 경우에도 대시보드 온도는 8℃, 실내온도는 5℃ 감소했다.
차량 화재에 대비해 반드시 차량용 소화기를 트렁크가 아닌 실내에 비치하고 위치를 미리 확인해둘 필요가 있다.
교통안전공단은 "여름철 장거리 운행전 엔진오일 누유와 냉각 계통의 이상 여부 및 타이어 공기압 등을 살피고, 외기 순환모드를 사용하거나 주기적으로 창문을 열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내기 순환모드에서 장시간 에어컨을 틀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거나 배기가스의 오염물질이 차 안으로 들어와 졸음운전을 유발할 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