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항공 기후소송 직면..."그린워싱으로 소비자 기만했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6-01 07:04:33
  • -
  • +
  • 인쇄

미국 항공사 텔타항공(Delta Air Lines)이 그린워싱을 일삼아 소비자를 기만했다는 이유로 10억달러 이상의 기후소송에 직면했다.

지난달 30일(현시시간)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원고 측은 텔타항공의 광고문구인 "세계 최초의 탄소중립 항고사"라는 문구를 문제삼았다. 켈리포니아주에 거주하는 마얀나 베린(Mayanna Berin)은 소송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시장 프리미엄이 존재하며 델타항공이 그린워싱으로 이득을 취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객들이 델타항공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믿고 웃돈을 주고서라도 항공권을 구매했을 것이다"며 "탄소중립 주장이 없었다면 많은 고객이 그 가격으로는 항공권을 구매하지 않았을 것이다"고 밝혔다.

2020년 델타항공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10년간 10억달러를 지출해 궁극적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당시 델타항공 CEO 에드 바스티안(Ed Bastian)은 "환경 지속 가능성보다 더 큰 혁신이 필요한 도전 과제는 없으며, 단일한 해결책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우리는 문제를 깊이 파고들고, 전문가를 참여시키고, 파트너십을 육성하고,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델타항공은 그 방법으로 비행 효율성 증대와 탄소배출권 구매를 제시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것은 탄소배출권이다. 원고 측은 "델타항공의 탄소중립 주장은 기후위기 대응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쓰레기 상쇄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명백히 거짓이다"고 주장했다.

사실 탄소배출권을 통한 탄소중립은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되레 환경오염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 1월 가디언지와 환경조사단체 소스머티리얼(SourceMaterial) 공동조사에 따르면 다국적 대기업이 구매한 베라 열대우림 크레딧은 대부분 위협받지 않는 열대우림의 파괴를 막는 데 사용되어 가치가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석유기업 셰브론(CHEVRON) 등 탄소배출권을 구매한 기업들은 환경단체의 비난과 소송에 직면한 실정이다.

원고의 변호를 맡은 법무법인 하더라인 앤 쿠욤지안(Haderlein and Kouyoumdjian LLP)의 크리코르 쿠욤지안(Krikor Kouyoumdjian) 변호사는 "탄소중립이라는 용어는 매우 도발적이다"며 "기업이 '배출량은 걱정하지 마세요, 모두 처리됩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안일한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탄소중립은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법률 전문가들은 "기업의 그린워싱은 무모할 뿐만 아니라 시장 파괴적 행위"라고 말했다.

조나단 하더라인(Jonathan Haderlein) 변호사는 "자발적 탄소 상쇄 시장은 현재 운영되는 방식으로는 기업의 탄소중립을 의미있게 보장할 수 없다"며 "이러한 상쇄 구매를 근거로 기후변화에 대한 기업의 ESG 전략을 예측하는 것은 솔직히 무모한 일이다"고 말했다.

하더라인 변호사는 "사람들은 이러한 친환경 제품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며 "델타항공과 같은 회사가 먼저 친환경을 실천한다고 주장하고 이를 통한 추가 수입을 올린다면 훨씬 더 나은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다른 회사들에게 불공평하다"고 비판했다.

반면 델타항공은 대변인을 통해 "이 소송은 법적 효력이 없다"며 "델타항공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위해 노력하면서 업계 최고의 기후 목표를 채택하는 등 보다 지속가능한 항공 여행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델타항공은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에 대한 투자, 연료 효율성이 높은 항공기로의 항공기 교체 및 운영 효율성 구현에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소송을 맡은 캘리포니아 연방법원은 "아직 소의 적합성을 검토중에 있다"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삼성물산, 판교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사과..."모든 공사중단"

삼성물산은 29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PSM타워'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60대 하청 노동자가 작업중 사망한 사고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사과한

KT "해킹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

KT가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5개월간 무료 데이터 100기가바이트(GB)와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또는 단말기 교체비를 지원한다고 29일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기후/환경

+

목표를 이미 60% 달성?...2035년 NDC 산업 배출전망 '뻥튀기'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과거의 '산업부문 배출 과대추정 방식'이 그대로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윤석열 정부가

해상풍력 확대한다면서..."개정된 기후부 지침서 환경·주민 배제"

정부가 개정한 해상풍력 환경성평가 지침에 환경영향과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녹색연합과 함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