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171조개 바다에 '둥둥'...2040년에 2.6배 증가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9 14:17:12
  • -
  • +
  • 인쇄
전세계 플라스틱 재활용률 9% 불과
정화작업 무의미...생산 자체 멈춰야


전세계 바다를 뒤덮고 있는 미세플라스틱 입자 수가 171조개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비영리단체 5대 환류대 연구소(5 Gyres Institute) 연구팀은 2019년 기준 바다에 떠다니는 직경 5mm 이하 미세플라스틱 입자 수가 171조개를 돌파했고, 이렇게 쌓인 오염물질의 무게가 총 230만톤에 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1979~2019년 북대서양, 남대서양, 북태평양, 남태평양, 인도양, 지중해 등 6개 주요 해양환경의 1만1777개 관측소에서 측정한 해수면 플라스틱 오염 데이터를 활용했다. 연구팀은 현행 추세로 2040년에 이르면 플라스틱 오염물질의 양이 2.6배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전세계적으로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9%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강물, 비바람, 하수구를 타고 바다로 흘러간다. 바다로 배출된 폐기물은 화학물질을 내뿜어 바닷물 자체를 오염시킬 뿐 아니라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한 해양 생물들의 내부 장기를 망가트린다.

5대 환류대 연구소의 공동창립자 마커스 에릭슨은 "플라스틱 생산을 멈추지 않는다면 정화작업은 무의미할 정도"라면서 "재활용과 수거에 앞서 근원적으로 플라스틱 생산 자체를 멈추기 위해 전세계가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175개 유엔 회원국들은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비롯해 플라스틱 생산과 폐기 전반을 규제하는 '플라스틱 오염 규제협약'을 2024년까지 만들기로 만장일치로 결의한 바 있다. 다만 신규 플라스틱 제조에 대한 규제 범위를 두고 이견이 있어 조율중이다. 신규 플라스틱 제조 감축이 강제되지 않는다면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2050년 4배 늘어날 전망이다.

이 연구논문은 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