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플라스틱 포장쓰레기' 80% 늘었다...배달음식탓?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2 11:36:50
  • -
  • +
  • 인쇄
비닐봉투는 276억개...서울시 13번 이상 덮을 면적
'일회용품' 별개로 '일회용 플라스틱' 법적 정의 필요


지난 11년동안 우리나라에서 배출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이 2.5배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에서 배출된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의 양이 이전에 비해 8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배달음식과 택배가 증가한데 따른 결과다. 

22일 그린피스와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장용철 교수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플라스틱 대한민국 2.0 보고서'를 공개했다. 2019년 '플라스틱 대한민국, 일회용의 유혹' 후속으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플라스틱 소비 발자국을 비교분석한 것으로 국내에서는 유일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플라스틱 폐기물이 2.2% 감소했지만, 팬데믹이 발발한 2020년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1081만6000톤으로 2019년 1020만3000톤에 비해 오히려 늘었다. 2021년에도 1193만2000톤으로 더 늘어나, 2011년과 비교하면 지난 11년 사이에 무려 2.5배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배달음식 및 택배 이용량이 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2019년 대비 2020년 14.6%, 2021년 1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환경공단 자료에 의하면 분리 배출되는 플라스틱 가운데 배달음식 포장재를 포함하는 '기타 폐합성수지류' 하루 배출량은 2019년 715.5톤에서 2021년 1292.2톤으로 무려 80.6%나 증가했다.

▲2010~2021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자료=그린피스)


또 1인당 연간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 발자국은 2020년 기준 생수 페트병 109개(1.6kg), 일회용 플라스틱컵 102개(1.4kg), 일회용 비닐봉투 533개(10.7kg), 일회용 플라스틱 배달용기 568개(5.3kg)로 나타났다. 4가지 품목을 더하면 해마다 국내 소비자 1인당 19kg의 플라스틱을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무게 단위로 환산하면 87만3833톤으로 2020년 기준 생활계 플라스틱 폐기물 441만1000톤의 약 20%에 달하는 양을 개별 소비자들이 배출하고 있는 셈이다.

국내 인구 5184만명을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 국민이 1년간 소비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양은 천문학적 수준이다. 생수 페트병의 경우 56억개로, 지름 10cm의 페트병들을 세워서 늘어놓으면 지구를 14바퀴 돌 수 있는 양이다. 플라스틱 컵은 53억개로, 컵 하나의 높이를 11cm로 가정하면 지구에서 달 사이 거리의 1.5배에 이른다. 비닐봉투는 276억개로, 이들을 20L 종량제 봉투라고 가정하면 서울시를 13번 이상 덮을 수 있는 양이 된다.

▲일회용 플라스틱 국내 전체 연간 소비량 (자료=그린피스)


보고서는 종량제 봉투 배출 폐기물을 포함하는 생활계 폐기물의 2030년 발생량 전망 수치도 공개했다. 2010~2021년 발생량과 같은 추세로 증가가 지속될 경우 2030년 생활계 폐기물 중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한 해 647만5000톤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010년에 비해 3.6배 증가한 수치다.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증가에 대한 원인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재활용 실태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2021년 전체 국내 전체 플라스틱의 물질 재활용률은 약 27%였으며, 그중 일회용 플라스틱이 큰 부분을 차지하리라 추정되는 생활계 폐기물의 물질 재활용률은 약 16.4%에 불과했다. 2021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이 2017년보다 49.5%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여전히 매우 낮은 수치다. 특히 생활계 플라스틱 폐기물 70% 이상은 단순 소각하거나 에너지 회수 고형연료 형태로 처리하면서 온실가스를 대기 환경으로 대량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용철 충남대 교수는 "한국은 EU, 캐나다 등 다른 나라들과 달리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법적 정의가 따로 없고, '일회용품' 안에서 포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어서 일회용 플라스틱의 구체적인 감축 전략과 규제를 시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서 "한국은 일회용 플라스틱 구체적인 감축 전략 수립과 이행 방안, 목표 설정, 대체 제품 개발, 관련 통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며 정부차원에서 강화된 법적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유엔은 플라스틱으로 인한 오염을 막기 위한 첫 국제협약을 2024년 말까지 만들기로 합의했다. 플라스틱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갖는 규제안을 마련하는 것으로, 환경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국제 협약이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김나라 그린피스 플라스틱 캠페이너는 "유엔이 추진하고 있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한국이 안일하게 대처하는 플라스틱 오염에서 벗어날 중요한 기회"라며 "협약이 체결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하기 때문에 향후 INC(정부간 협상위원회) 회의에서 제기될 산업계의 간섭을 배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