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환경부 '화장품 공병회수 협약' 슬그머니 폐지

허줄리 기자 / 기사승인 : 2023-02-10 08:30:02
  • -
  • +
  • 인쇄
회수시스템 협약하면 '재활용 어려움' 표시면제
3년간 1곳만 승인...참여율 저조하자 없애버려


환경부는 화장품 회사가 자체 공병회수 시스템을 갖추면 화장품 용기에 '재활용 어려움' 표시를 면제해주는 협약을 시행 3년만에 슬그머니 폐지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화장품 용기는 대부분 플라스틱과 금속 등 복합재질로 만들어진데다 잔여물 때문에 90% 이상 재활용할 수 없어 '예쁜 쓰레기'로 불리고 있다. 더구나 플라스틱 사용비율이 64%에 달해, 환경부는 이 플라스틱 재활용 비율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20년 자체 공병 회수시스템 계획을 제출하는 기업에 한해 '재활용 어려움' 표시를 면제해줬다. '재활용 용이성 등급'은 '최우수·우수·보통·어려움' 4등급으로 나뉘어 있다.


그러나 제도시행 3년동안 국내 1만여개 화장품 회사 가운데 회수시스템 계획을 제출한 곳은 달랑 3곳에 불과했다. 이 가운데 '연도별 역회수 수량 및 의무율 제시 적정성' 등 5개 항목에서 통과된 기업은 아미코스메틱 1곳뿐이었다. 리만코리아는 제출한 계획서의 보완지시 이후 다시 제출하지 않았고, 하이리빙은 역회수 계획을 철회해 버렸다. 

화장품 회사들의 참여가 사실상 없다시피 하다보니, 환경부는 올 1월 회수시스템 협약을 없애버렸다. 환경부 관계자는 10일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지난 3년간 협약에 참여한 기업은 3곳이었고, 승인된 기업은 1곳"이라며 "참여하는 기업들이 없어서 협약을 폐지했다"고 밝혔다.

게다가 회수계획이 승인된 아미코스메틱도 2021년 하반기 7개월동안 연간 의무량의 4.7%만 회수하는데 그쳤다. 이 회사가 환경부에 제출한 역회수 의무량은 1242.7kg였지만, 실제 회수된 양은 58.15kg에 불과했던 것이다. 지난해 의무량은 1450.5kg 이었는데 회수율은 '0' 이었다.

환경부의 회수시스템 협약과 별개로,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애경산업, 로레알 등 화장품 기업들은 2021년 1월 자발적으로 '2030 화장품 이니셔티브'를 선언한 바 있지만 이 효과는 아직까지 미미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이니셔티브는 2025년까지 화장품 공병을10% 회수하고, 2030년까지 100% 자체 회수하겠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해당 기업들은 환경부가 추진하는 회수시스템 협약에 참여하지도 않았고, 지금까지 공병 회수율도 극히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녹색연합 허승은 팀장은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실질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이니스프리 등 일부 브랜드는 매장에서 공병을 수거하는 시스템을 마련했지만 전체 수거율 면에서 보면 매우 낮다"고 말했다. 또 환경부 회수시스템 참여율이 저조한 이유에 대해서도 "역회수 의무비율이 너무 높아서 화장품 기업들이 이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지 않았겠느냐"고 분석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신임 대표에 SK E&S 추형욱 대표 선임

SK이노베이션이 추형욱 SK이노베이션 E&S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에는 장용호 SK(주)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됐다.SK이

"탄소중립 정책, 韓 규제 중심인데 美日은 성장지향형 전략"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이 규제에 갇혀있는 사이, 미국과 일본은 탄소감축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우리나라도 이제 탄소중립을 규

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

우리은행, 국내 최초 '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오픈

우리금융은 국내 처음으로 기후금융을 테마로 한 종합정보포털인 '기후금융포털'을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이 기후금융포털은 △뉴스와 정책 △리서

SK이노베이션 '탄소저감' 기술 스타트업 10곳 선발

SK이노베이션이 '탄소저감'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 10곳을 선발했다.SK이노베이션은 환경기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에그' 5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쿠팡·마켓컬리·SSG, 6월 '녹색소비주간'에 친환경 제품 기획전

쿠팡과 마켓컬리, SSG닷컴이 6월 한달동안 환경부가 인증한 녹색제품을 한데 모아 판매하는 기획전을 진행한다.이를 위해 환경부는 27일 오후 서울 은평

기후/환경

+

기후변화로 대기 중 '오존 줄이기' 점점 어려워진다

지구온난화로 대기 중 오존을 줄이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연구팀은 기후변화로 인해 북

"차기 5년 평균기온 1.5℃ 넘을 확률 70%"...WMO의 섬뜩한 경고

앞으로 5년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1.5℃ 초과할 확률이 70%로 예측됐다. 또 5년안에 지구 평균기온이 2℃를 넘어설 가능성도 처음으로

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

우리은행, 국내 최초 '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오픈

우리금융은 국내 처음으로 기후금융을 테마로 한 종합정보포털인 '기후금융포털'을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이 기후금융포털은 △뉴스와 정책 △리서

[새 정부에 바란다] "에너지전환 서둘러야 경쟁력 회복 가능"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美 역대 최악의 더위 닥친다...기후취약 도시들 '각자도생'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인력을 대폭 삭감한 올해 전례없는 더위가 닥칠 것이라는 예보다.26일(현지시간)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