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명 삶의 터전 '습지'…숲보다 3배 빨리 사라진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2 13:59:30
  • -
  • +
  • 인쇄
UN "복원사업에 468조원 투입해야"
금세기말 해안습지 90% 사라질수도
▲우리나라 최초의 람사르습지인 인제의 대암산 용늪. 해발 1280m에 있는 국내 유일의 고층습원(식물 군락이 발달한 산위의 습지)이다. 연중 170일 이상 안개가 끼는 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이 고산의 우묵한 지형에 습지가 생겨났다. 한여름에도 안개가 자욱해 얼굴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사진=연합뉴스)


전세계 10억명이 생활기반을 의존하고 있는 습지가 숲보다 3배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세계 습지의 날'을 맞아 유엔이 갯벌, 늪, 하천이나 연못 주변 등 전세계 동·식물의 40%가 살고 있는 '습지'를 복원하기 위한 긴급 조처를 1일(현지시간) 촉구했다. 이미 지난 50여년간 전세계적으로 약 35%의 습지가 사라졌고, 2000년 이후 손실률이 가속화하고 있다.

습지는 지표면의 6% 정도에 불과하지만 전세계 10억명의 삶에 있어 식량, 관광, 일자리 등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습지의 일종인 국내 갯벌만 놓고 보더라도 바지락, 백합 등 연간 3000톤 규모의 조개류가 생산·판매되면서 어민들의 생계를 책임진다. 갯벌 가장자리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은 오염물질을 정화하며,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 사이에서 홍수로 인한 물의 흐름을 완화하고 저장하는 완충지대 역할을 한다.

유엔환경계획(UNEP)는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으로 금세기 말까지 갯벌을 포함한 현재 해안 습지의 약 20~90%가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갯벌은 국내에서만 자동차 11만대 배출량에 맞먹는 26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밖에도 죽은 식물들이 미생물 분해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로 쌓여 만들어진 '이탄습지'는 일반적인 숲에 비해 2배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하지만 지난 200여년간 습지는 관개시설, 도시화 등의 인간활동으로 지속적으로 파괴됐고, 기후변화까지 진행되면서 1970~2015년 전체 습지의 35%가 사라졌다. 탄소저감 효과가 높은 습지가 사라지면서 기후변화는 가속화하고 있고, 습지가 사라지는 속도도 다시 가속하는 악순환이 빚어지면서 습지는 숲이 벌목되는 속도보다 3배 빨리 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엔은 습지를 되살릴 수 있는 자연기반해법 투자규모를 현행 1540억달러(약 188조원)에서 2025년 3840억달러(약 468조원) 수준으로 2배 이상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례로 중국은 침수 피해를 끊기 위해 습지를 복원하고, 건물에 '녹색지붕'(Green roof)를 얹어 빗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등 '스펀지 도시' 조성에 16조원을 투자한 바 있다.

한편 이날 우리나라에서도 세계 습지의 날을 맞아 여러 환경단체가 습지 보호를 촉구했다. 낙동강하구지키기 전국시민행동은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시는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일대 대저대교를 포함한 16개의 신규 교량 건설을 추진하는 데 이어 가덕도신공항과 제2에코델타시티 건설 등 대규모 토목건설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부산시는 자연 유산을 파괴하는 행위를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시·도지사가 지정한 습지보호지역은 전국 7개소 8254㎢에 달하지만 제주에는 단 한 곳도 없다. 제주 자연의 벗은 "제주는 한반도의 습지와 전혀 다른 특성으로 국내에서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습지가 있는 지역"이라며 "제주에 지정된 5곳의 습지보호지역은 면적이 협소하고 완충지대가 보호구역으로 설정되지 않아 습지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름다운가게, 수익나눔 '2026 희망나누기' 파트너 공모

비영리 공익법인 아름다운가게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파트너 단체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26 아름다운 희망나누기' 사

"굳이 2교대를?" 李대통령 지적에...SPC '8시간 초과 야근' 없앤다

SPC그룹이 생산직 야근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해 장시간 야간근로를 없앤다.SPC그룹은 지난 25일 경기도 시흥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기후/환경

+

미국과 멕시코 ‘물 전쟁’ 종료…티후아나강 하수차단 합의

20년 넘게 국경을 오염시켜온 티후아나강 하수 문제가 마침내 해결 수순에 들어갔다. 미국과 멕시코는 2027년까지 원시 하수 유입을 전면 차단하기로 합

기후·환경정보 한눈에...'경기기후플랫폼' 서비스 시작

경기도에서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어디가 가장 좋을까? 전기요금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내 주변 가장 가까운 폭염대피소는 어디지? 이런 질

기록적 폭염이 키운 산불...그리스·튀르키예 동시다발 산불에 '아비규환'

그리스와 튀르키예 전역에서 대형 산불이 동시다발 발생해 수십명이 대피하고,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그리스는 전국에서 화재 진압이 이어지

동부 40℃ 폭염, 서부 알래스카급 냉기…'이상기후'에 갇힌 美

미국 전역이 극단적인 이상기후에 휩싸였다. 동부와 중서부는 6월에 이어 또다시 열돔에 갇혀 체감온도가 40℃를 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반면, 서

[날씨] "이러다 40℃ 넘겠다"...폭염 기세 더 맹렬해진다

지난 주말 일부 지역에서 한낮 최고기온이 40℃에 육박하는 맹렬한 폭염이 이번주 내내 이어진다. 한낮기온이 매일 정점을 찍으며 올라가는 '극한폭염'

녹색철강, 수요 있어야 전환도 있다..."정부가 공공조달 물꼬 틔워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정부의 녹색철강 수요 창출이 전환을 이끄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