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할아버지되는 빌 게이츠의 근심..."기쁘지만 기후변화 생각하면..."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12-21 12:39:20
  • -
  • +
  • 인쇄
"기후변화 바로 잡지 못하면 미래 세상은 궁색"
"배출량 520억톤"으로 증가...소극적 대응 지적
▲빌 게이츠 (사진=연합뉴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창업자가 곧 할아버지가 된다. 그러나 그는 기후변화가 덮칠 미래를 살아가야 하는 손주를 생각하면 마냥 기쁠 수 없는 현실을 탄식했다.

지난 10월 67번째 생일을 맞은 빌 게이츠는 20일(현지시간) 자신의 블로그 '게이츠 노트'(Gates Notes)를 통해 자신의 딸의 임신소식을 "내가 곧 할아버지가 된다"고 알리며 "이 문장을 타이핑하기만 해도 감정이 복받친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면서 손주가 살아가야 할 미래에 대한 걱정도 내비쳤다. 그는 "내 손주들이 태어나게 될 세상을 생각하면 나는 그 어느 때보다 다른 모든 사람들의 아이들이 생존하고 번영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영감에 사로잡힌다"며 "기후변화를 바로잡지 못하면 우리 손주들이 자라날 세상은 극단적으로 궁색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자선활동만으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없다"며 "시장과 정부가 기후위기 대응의 규모와 속도를 늘려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실제로 세계 각국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잇따라 선언했던 2021~2022년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10억톤에서 520억톤으로 되레 늘었다. 게다가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식품 및 에너지 가격까지 치솟아 전세계가 대혼란 상황에 빠지면서 기후변화 관련 대응은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

빌 게이츠는 기후변화를 되돌리기 위한 노력들이 무산되거나 역행하면 안된다는 점을 새삼 강조했다. 그는 "넷제로 달성은 인류가 실행한 일들 가운데 가장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며 "30년 안에 물건을 만들고, 이동하고, 전기를 생산하고, 작물을 기르고, 냉·난방을 하는 등의 모든 방식에 있어 물리적 경제구조 전체를 뜯어고쳐야 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빌 게이츠는 '빌&멀린다 게이츠재단'을 통해 인류에게 닥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또 기후변화를 되돌리기 위해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쳐스'(BEV)를 설립해 투자를 유치하면서 각 부문이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연구개발 및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자선활동만으로는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시간도 촉박하다는 점을 빌 게이츠는 지적하고 있다. 남은 시간 동안 기후변화를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이에 빌 게이츠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노력이 유의미한 성과를 내려면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하고, 속도감있게 추진되려면 각국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각국 지도자들의 결정이 바로 미래세대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빌 게이츠는 기업들의 탄소중립을 위한 투자금 규모가 수년전 그가 예측했던 규모에 비해 월등히 크다는 점을 들어 "아주 어렵지만 아직 미래 세대를 위해 더 나은 세상으로 충분히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고 기대했다. 미국의 경우, 2022년에 5000억달러(약 644조원)의 에너지 전환기금이 마련됐고, 지난 2년간 벤처캐피털이 청정에너지 스타트업에 투자한 금액은 700억달러(약 90조원)에 달했다.

끝으로 빌 게이츠는 "세상이 더 공정한 곳이 될 수 있도록 일생을 바치는 사람들의 도량에 경의를 표하고, 그들의 노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에 감사하다"며 "성공까지 갈 길이 멀지만 오는 2023년 그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기회가 닿는 대로 다른 이들도 함께 노력에 동참하도록 권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