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질병 취약…예방이 우선"
꿀벌 대여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하우스 농가의 농자재값 부담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성주군에서 딸기와 참외 농사를 짓는 박모 씨는 8일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작년 봄에만 해도 벌통 값이 13만원 선이었는데 내년에는 20만원을 훨씬 웃돌 것 같다"며 "가격도 가격인데 하우스에 넣을 수 있는 벌 자체가 없어서 참 걱정이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국내 과채류 생산농가 10곳 중 7곳은 꿀벌을 활용해 꽃가루 매개를 한다. 국립농업과학원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겨울 꿀벌이 100억 마리 가량 집단 실종되는 사건이 벌어지면서 수박 하우스 하나당 5~6만원하던 벌통이 7~8만원으로 올랐고, 참외는 12~13만원에서 17~18만원으로 인상됐다.
문제는 이미 평균적으로 15~20% 오른 꿀벌 대여가격이 앞으로 더 오를 예정이라는 점이다. 지난번 월동벌 폐사에 이어 이미 내년 봄 피해가 더욱 심각할 것이라는 전조가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 남양주시에서 150통 규모의 양봉장을 운영하는 한모 씨는 겨울을 나기 전인데도 벌써 벌통이 50개만 남았다. 한 씨는 "30년된 경력자가 350통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는 경우도 보고, 주변 양봉농가에서도 100통, 200통이 예사로 사라지고 있다"며 우려했다.
대여할 수 있는 꿀벌이 있어도 문제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남아있는 꿀벌의 건강마저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꿀벌들은 무사히 성충이 되더라도 수명이 짧거나 몸집이 왜소해지고 있다. 성치 못한 꿀벌은 식물의 씨방에 골고루 꽃가루를 묻히지 못해 착과율이 떨어지고, 기형과가 생겨날 확률이 높아진다. 농가 입장에서는 생산성과 품질이 떨어지게 되면서 소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성주군의 박 씨는 "딸기 수정은 어떻게든 끝냈지만, 이제 참외 하우스에 꿀벌을 넣어야 하는데 건강한 꿀벌이 없다"며 "40동(1동=150평) 중 20동만 꿀벌을 동원하고, 나머지 20동은 직접 분무기를 뿌려서 해결해야 할 지경"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대로 가면 내년에도 꿀벌 대여가격이 안 오른다는 보장이 없는데, 인건비까지 추가될 생각을 하니 걱정이 태산이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원인을 기후위기로 지목하며 그에 따른 꿀벌 강화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박종규 한국양봉벌침교육중앙회 회장은 "동해안에 쏟아지던 오징어들이 사라지고, 대신 복어나 고등어가 나타나는 것처럼 기후위기로 양봉농가 주변 환경도 많이 바뀌었다"며 "바뀌지 않은 것은 사람 뿐"이라고 짚었다.
기후위기로 꿀벌의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병해충이 창궐하기 좋은 조건이 갖춰지고 있다. 박 회장은 "지난 30~40년간 경기도·강원도 지역의 양봉인들은 여왕벌이 겨울 없이 계속 산란을 하도록 해서 꿀벌 수를 늘리기 위해 따뜻한 해남·고흥·남해로 내려갔지만, 기생충인 꿀벌 응애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오히려 추운 곳으로 가서 병해충을 털어내야 월동을 더 잘 할 수 있고, 이듬해에 봄벌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꿀벌에게 설탕물 사료 외에 천연꿀을 남겨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꽃의 꿀에는 효소, 아미노산, 미네랄, 당분 등 총 35종의 영양소가 듬뿍 들어있다. 박 회장은 "사람이 먹는 채소도 기후위기로 인해 예전보다 영양소 함량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고, 꿀벌이 먹는 꽃꿀과 꽃가루도 마찬가지"라며 "특히 꿀벌은 위장이 없기 때문에 단백질 함유량이 높은 화분떡이나 면역증강제의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했다.
꿀벌용 의약품 전문기업 바이오포스 표병수 이사는 앞으로 양봉정책이 질병 '예방'을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위기로 인해 꿀벌 유충의 크기가 작아지는 등 건강이 악화하면서 꿀벌들이 점차 질병에 취약해지고 있고, 강원도의 한 사례를 보면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가 등장해 꿀벌들을 괴롭히고 있다"면서 "위생 검사소에서 해당 균을 분석해보면, 부저도 아니고, 낭충봉아도 아니고, 노제마도 아닌 정체불명의 바이러스"라며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새로운 질병이 계속해서 생겨나는 만큼 '예방'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표 이사는 이어 "현재 양봉인들이 즐겨 구매하는 국내 방제약은 중국에서 생산하는 살충제 성분 그대로 완제품을 유통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고, 꿀벌용 항생제 역시 유럽이나 북미 등 지구촌에서 금지돼있는 경우가 많다"며 "친환경 방제약을 적극적으로 개발해 꿀벌에 무리가 없도록 하는 연구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