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죽인 농약이…탯줄 타고 태반서도 검출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11-30 15:13:30
  • -
  • +
  • 인쇄
中연구팀 "네오니코티노이드 검출률 84%"
국내 살충제 남용에 신생아 발달 장애 우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의 높은 태반 통과 가능성 (사진=미국화학협회 환경과학기술)

올초 꿀벌 집단폐사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의심 받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농약이 사람의 탯줄을 타고 태아에게까지 전달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 광저우 중산대학교 환경과학·공학과 연구진은 임산부 태반과 탯줄의 혈청 속에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 성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실험에 참여한 95명의 임산부에게서 1가지 이상의 살충제 또는 대사산물(인체 내의 대사과정을 거쳐 특정 성분이 분해되면서 나오는 물질)이 검출됐다.

검출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성분은 아세타미프리드(ACE), 이미다클로프리드(IMI), 티아클로리드(THD), 클로티아니딘(CLO), 티아메톡삼(THM) 등이고, 해당 살충제의 대사산물은 엔-데스메틸-아세타미프리드(N-dm-ACE)와 올레핀-이미다클로프리드(of-IMI) 등 2종이다.

이 가운데 IMI는 독성이 가장 강해 캐나다에서는 수생생물을 보호하기 위해 지표수 수질기준에 IMI 농도 허용치를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IMI의 검출률은 산모 혈청에서 78%, 탯줄 혈청에서 84%로 7가지 성분 가운데 가장 높은 확률로 나타났다. 농도로 살펴봤을 때에도 IMI는 산모 혈청에서 0.79ng/ml, 탯줄 혈청에서 1.84ng/mL로 가장 높은 중간값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산모 혈청과 제대 혈청의 농도를 비교해 살충제 성분이 태반으로 전이되는 '이동 효율'(TTE)를 계산했다. 전체 7가지 성분의 TTE 중간값을 1로 놓고 봤을 때 IMI는 이를 한참 웃도는 '1.61'에 달했다. 탯줄 혈청의 농도가 산모 혈액 속 농도보다 높아 태반을 손쉽게 통과하면서 오히려 태아에 IMI가 더 많이 농축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네오니코티니오이드계 살충제의 대사산물은 순수한 니코틴만큼의 독성이 있어 인간의 신경 세포도 손상시킬 수 있다. 해당 물질은 도파민에 민감한 신경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해 기능을 방해한다. 조기 노출되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선천성 심장 문제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이번 연구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남용이 신생아의 발달 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벼와 과수농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작물의 진딧물, 총채벌레, 벼멸구, 벼물바구미, 꽃매미 등의 방제용 약제로 많이 판매되고 있어 지난 2021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의 국내 판매액은 1426억원 규모로 전체 살충제 판매량의 22.7%를 차지했다.

연구진은 "탯줄 혈청에 대사산물 검출량이 높은 이유는 태반에 살충제를 전환하는 효소가 있기 때문"이라며 "대사산물인 N-dm-ACE 역시 살충제인 ACE보다 독성이 심하다고 알려진 만큼 원래 살충제에 노출되는 것과 맞먹는 위험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해당 연구논문은 지난 2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협회(ACS) 환경 과학 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LS, LS전선에 1500억 유증 참여..."美 생산거점 확보 차원"

㈜LS가 미국 내 생산거점 확보를 위해 LS전선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 약 1500억원 규모의 출자를 결정했다.LS는 25일 열린 이사회에서 LS전선 보통주

[ESG;NOW] 매일유업 재생에너지 3%...수질지표 더 악화

매일유업은 온실가스 감축, 물 사용효율 개선, 포장재 절감 등을 ESG 핵심목표로 제시해 왔다. 그러나 본지가 2024년 환경자료와 회사 측 회신을 종합 분

대한항공 기내식 용기 '식물성 소재'로 바꾼다

대한항공이 식물성 원료로 만든 기내식 용기를 도입한다.대한항공은 오는 12월부터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비목재 식물성 원료로 제작된 기내식 용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기후/환경

+

[ESG;NOW] 매일유업 재생에너지 3%...수질지표 더 악화

매일유업은 온실가스 감축, 물 사용효율 개선, 포장재 절감 등을 ESG 핵심목표로 제시해 왔다. 그러나 본지가 2024년 환경자료와 회사 측 회신을 종합 분

땅속에서도 죽지 않는다...북극 동토층 '좀비 산불'로 몸살

땅속으로 파고든 불씨가 죽지않고 타는 '좀비 산불'이 시베리아와 캐나다, 알래스카 등 북극의 새로운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좀비 산불'은 유기토양

기후취약국들 갈수록 '빚더미'..."기후재원 언제까지 대출받아 피해복구?"

기후재난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기후취약국들이 기후위기를 촉발시킨 선진국들의 책임있는 자세를 다시한번 촉구하고 나섰다.기후

1만2000년만에 분화한 화산...연기 14km까지 치솟아

에티오피아 북동부에 위치한 하일리 굽비 화산(Hayli Gubbi volcano)이 약 1만2000년 만에 처음으로 분화했다고 24일(현지시간) AFP, 가디언 등 외신들이 보도했

"초미세먼지 줄여라"…정부,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에 출력제한 조치

온화한 날씨로 인해 올겨울 초미세먼지(PM2.5)가 지난해보다 더 짙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 석탄발전소 최대 17기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