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생물 죽이는 폐그물...얼마나 많이 버려지나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7 15:43:48
  • -
  • +
  • 인쇄
호주 연구진, 7개국 대상 연구조사 결과
버려지는 폐그물, 지구 18바퀴 휘감을 양

해마다 바다에 버려지는 낚싯줄과 그물의 양이 지구를 18번이나 휘감을 수 있을 정도로 어마어마하다는 보고가 나왔다. 많은 해양생물들이 이렇게 버려진 낚싯줄과 그물에 옭아매여 죽임을 당하고 있다.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와 테즈메이니아대학 연구진은 바다에 버려진 낚싯줄의 길이가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뛰어넘는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버려지는 모든 종류의 낚싯줄을 모으면 지구를 18바퀴나 돌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미국, 모로코, 인도네시아, 벨리즈, 페루,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등 7개국에서 어업에 종사하는 451명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전세계 어획량과 비교했다. 그 결과 연간 손실되는 어구 양은 위망 및 자망 7만8000km², 저인망 215km², 모릿줄 74만km, 아릿줄 1550만km, 모릿줄 낚싯바늘 130억개, 통발 2500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비 유실량은 작은 어선이 큰 어선보다 많고 저인망 어선이 중저인망 어선보다 많았다.

연구진은 바다에 버려진 어구들이 해양생물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데니스 하드스티(Denise Hardesty)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 연구원은 "드러나지 않은 피해까지 감안하면 해양생물의 개체수 감소까지 초래할 수 있다"며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짚었다.

하드스티 박사는 "장비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떠내려가거나 다른 선박의 장비와 엉켜 그물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떠내려간 그물은 동물을 잡도록 설계된 특성상 수년에 걸쳐 해수면, 해저, 해변 등을 표류하며 새와 거북이, 고래, 상어, 돌고래, 듀공 등 해양동물들을 옭아맨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렇게 잡힌 어류들은 대부분 그대로 버려져 식량안보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켈시 리처드슨(Kelsey Richardson) 태즈메이니아대학 교수는 "폐그물이 해양플라스틱 오염을 악화시키고 있다"며 "상세한 추정치가 어업 부문과 환경보호론자들이 더 나은 해결책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리차드 렉(Richard Leck) 호주 WWF 해양책임자는 "유령그물은 알려진 바와 같이 해양생물들에게 특히 위협적인 플라스틱오염"이라고 강조했다. "어선에서 한 번 잃은 그물은 낚시를 멈추지 않는다"며 "바다를 떠돌며 계속해서 물고기를 잡고 멸종위기종들을 옭아매 그물이 유실된 장소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에 피해를 입힌다"고 했다. 그는 현재 유엔에서 협상 중인 국제플라스틱오염조약을 통해 어구에 대한 보고 및 라벨링을 투명화해 유령그물 문제를 "국가가 책임질 수 있도록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드스티 박사는 지방정부에서 새 장비보다 유실위험이 큰 노후화된 어구를 매입하거나 장비에 꼬리표나 라벨을 부착하는 방안, 어부들이 폐그물을 안전하게 버릴 수 있도록 항구에 무료시설을 도입하는 등의 해결책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스어드밴스(Science Advances)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기후/환경

+

서울 첫 '폭염경보' 발령된 7일...전력수요도 첫 90GW 찍었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폭염경보'가 발령된 7일 오후 국내 전력수요가 한여름을 방불케하는 90기가와트(GW)에 달했다.7일 전력거래소의

[영상] 순식간에 9m 불어난 강…美텍사스 '대홍수' 참사

미국 텍사스주가 돌발홍수로 쑥대밭이 됐다. 폭우에 가뭄으로 말랐던 강 수위는 90분만에 9m까지 치솟았고, 인근 저지대에서 야영하던 사람들은 순식간

'日 대지진' 예언날짜 지났지만...여전히 불안한 주민들 '탈출러시'

'일본 대지진'이 일어날 것으로 예언된 7월 5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일본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를 중심으로 지진이 이어지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대피

폭염을 이기지 못한 아스팔트...아이스크림처럼 '흐물흐물'

폭염을 이기지 못하고 도로 아스팔트가 녹아내리는 일까지 벌어졌다.지난 4일 뉴스1에 따르면 울산 북구 농소초등학교 앞 버스정류장 근처에서 도로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