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 진미로 손꼽히며 수요가 높은 열대해삼이 남획으로 멸종위기에 처했다.
호주 퀸즐랜드대학의 케니 울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11일(현지시간) 호주 북동해안에 있는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에 서식하는 열대해삼이 무분별한 남획으로 개체수가 급감했다고 밝혔다.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는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해삼 16종 가운데 10종이 서식하는 세계 최대 산호초다. 멸종위기에 내몰린 열대해삼 가운데 티트피쉬(Teatfish)로 알려진 해삼종은 특히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 티트피쉬는 높은 시장가치와 낮은 번식력으로 인해 개체수가 가장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트피쉬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을 근거로 어획 및 수출이 제한돼 있지만, 이들 중 2종인 화이트티트피쉬와 블랙티트피쉬가 최근 퀸즐랜드 어장의 총 어획량 20% 이상을 차지했다.
울프 박사는 "남획으로 1999년 어업이 금지된 이후에도 블랙티트피쉬의 수는 회복되지 않았으며, 설상가상으로 2019년 어업이 재개되기까지 했다"고 설명했다. 다행히 2021년 12월 미국연방 환경부장관이 CITES협약을 지지하면서 해당 개체군의 보존 상태를 인정, 블랙티트피쉬 어획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에 대해 울프 박사는 "멸종위기에 처한 해삼 10종 중 하나는 지켜냈지만, 다른 해삼 개체군도 멸종위기에 처하지 않도록 하려면 추가 정책개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리아 번 시드니대학 교수도 효과적인 규제가 해삼 보호에 필수라고 했다. 번 교수는 "그레이트배리어리프 해삼 어장은 규제가 없는 성과측정체제로 오랫동안 운영돼 왔다"며 "해당 체제는 해삼 자원량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권고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해삼 수확량이 자원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번 교수는 "앞으로 법적규제 및 시행정책 틀을 갖춰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 어획되는 모든 열대 해삼 종에 대해 정기적인 독립 자원평가를 해야 한다"며 "그래야만 지속가능한 어획이 무엇인지 평가하고 종별 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이 해삼종들이 국지적으로 멸종되는 일을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울프 박사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진미로 여겨지지만, 해삼은 해저를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바다의 지렁이이자 진공청소기"라며 "건강한 해양 생태계에 해삼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번 교수 역시 "해삼은 산호초 생태계에 필수이며 호주와 퀸즐랜드 정부가 리프2050 계획을 이행하고 퀸즐랜드 농수산부가 지속가능한 어업전략을 세우는 데 큰 기여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