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가 후원?…기후정상회담이 기가막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0-06 08:40:01
  • -
  • +
  • 인쇄
연간 1200억개 플라스틱 병 생산
"기후위기 악화 세계최대 오염원"
▲28일(현지시간) COP27 주최측은 코카콜라를 COP27의 후원사로 발표했다.(사진=COP27 트위터)


코카콜라의 COP27기후정상회담 후원이 그린워싱으로 비난받고 있다.

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는 올해 유엔기후회의와 코카콜라 간 후원계약이 알려지면서 운동가들로부터 '그린워싱'이라는 낙인이 찍혔다고 보도했다.

오는 11월 6일부터 18일까지 이집트에서 열리는 COP27은 기후비상사태에 대처하기 위한 정부, 기업, 환경단체들의 국제포럼이다. 그리고 COP27의 주최국인 이집트 정부는 지난 28일 코카콜라와의 협력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아흐메드 라디(Ahmed Rady) 코카콜라 북아프리카 사업부 부사장은 카이로 외무부에서 열린 서명식에서 "의미 있는 파트너십을 통해 협력하는 것이 전세계 지역사회와 사람들에게, 그리고 이집트에 공유된 기회를 만들어 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 발표는 소셜미디어 전반에 걸쳐 충격과 실망을 안기며 기업 그린워싱의 또 다른 사례로 비난을 받았다. 환경운동가들은 코카콜라 퇴출을 시작으로 기업의 COP회담 후원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코카콜라는 환경단체로부터 '세계 최고의 오염원'이라 평가받는 기업이다. 엠마 프리스트랜드(Emma Priestland) 국제환경단체 '플라스틱으로부터의 해방(Break Free From Plastic)' 조정관은 "코카콜라는 세계에서 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쓰는 기업 중 하나"라며 코카콜라의 COP27 후원을 순수한 '그린워시'라고 비판했다.

존 호체바(John Hocevar) 그린피스USA 해양캠페인책임자는 "세계 최대 플라스틱 오염원인 코카콜라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회의를 후원한다는 점은 당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에 따르면 코카콜라는 연간 1200억 개의 플라스틱 병을 생산하고 있으며 플라스틱의 99%가 화석연료로 만들어져 플라스틱오염과 기후위기를 악화시키고 있다.

호체바 책임자는 "기업은 이것이 문제라는 사실조차 인정하지 못했으며 플라스틱 중독을 끝내지 않고 어떻게 기후목표를 달성할 것인지조차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러한 파트너십은 후원하고자 하는 행사의 바로 그 목적을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코카콜라 측은 "2030년까지 판매하는 모든 캔을 수거하고 재활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우리의 역할을 다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COP27 후원은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5% 줄이고 2050년까지 넷제로를 실현하겠다는 우리의 목표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이에 호체바 책임자는 "진정 코카콜라가 플라스틱 문제와 기후위기를 해결하고 싶다면 플라스틱을 끊어야 한다"고 일침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최남수의 ESG풍향계] '독립이사'로 명칭 바뀌면 '거수기' 벗어날까?

상법 개정안이 지난 7월 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데 이어 공포됐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회사 감사위원의

카카오임팩트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9월 4일부터 3일간 기후기술 회의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기후기술과 AI, 미래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기후/환경

+

강릉 저수율 12.4%…비 안내리면 4주 내 바닥난다

남부 지방은 비 예보가 있지만 가뭄에 메말라가는 강릉은 아직도 비 소식이 없다. 지금 이대로 가면 4주 이내에 강릉의 저수율은 5% 밑으로 떨어질 것으

'최악 가뭄' 강릉 저수율 12.6%...평창 도암댐 물 활용논의

강원 강릉이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연일 급수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상수원은 계속해서 말라붙고 있다.강릉의 오봉저수지의 저수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아프간 이틀만에 또 6.2지진...세차례 지진에 사망자 '눈덩이'

아프가니스탄에 세 차례에 걸쳐 발생한 지진으로 사상자가 3600여명이 넘어섰다.독일 지구과학연구센터(GFZ)에 따르면 아프간 동남부 지역에 4일(현지시

[주말날씨] 이틀간 '100㎜' 퍼붓는다...가뭄 겪는 강릉은?

이번 주말에도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강한 비가 쏟아진다.토요일인 6일은 늦은 새벽 수도권과 충남권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돼 오전중에 강원 내륙&middo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