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기후변화는 금융손실"...기후리스크 관리 나선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9-20 17:40:56
  • -
  • +
  • 인쇄
이상기후로 물리적 손실·이행 리스크 늘어
금감원·금융권 '기후 스트레스테스트' 추진


기후변화로 인한 자산손실이 금융리스크로 이어지자, 금융감독원이 기후변화가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에 나섰다.

20일 금감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금융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국내 10개 은행 및 보험사 등이 참여하는 '기후 시나리오 공동작업반'을 구성, 금융부문 기후리스크에 대한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금융부문의 기후리스크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물적 피해와 저탄소 사회로 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융손실을 의미한다. 일례로 기온 및 해수면 상승 등에 따른 물리적 피해가 금융회사의 보험 및 대출자산 관련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또 정부의 탄소중립정책에 따른 탄소배출권 가격증가는 고탄소 산업 및 기업의 비용을 늘리면서 해당 산업의 채무상환능력 악화되고, 이에 따라 주식이나 채권의 가치가 하락하는 경우도 기후리스크로 볼 수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금융손실은 직접적인 물적 피해인 '물리적 리스크'와 저탄소 전환에 따른 '이행 리스크'로 나뉜다. (자료=금감원)


실제로 해외 주요 감독당국은 각국의 자연환경 및 탄소배출정책 등에 기반한 기후 시나리오 분석 및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중이다. 유럽연합(EU)은 탄소국경세 도입이나 바젤위원회가 '기후리스크 감독원칙 제정' 등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대응이 강화되면서 기후 시나리오 분석 및 스트레스 테스트가 금융부문 기후리스크 관리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기후 시나리오 공동작업반'을 구성해 저탄소 사회로의 이행에 따른 리스크와 물리적 리스크를 모두 평가할 수 있는 기후 시나리오 개발 및 스트레스 테스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협의체'(NGFS)에서 제공하는 6가지 표준기후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되, 우리나라의 탄소중립정책 및 한반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태풍, 집중호우) 등을 감안해 기후 시나리오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6가지 표준 기후시나리오는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속도(순차이행, 무질서이행, 현상유지) 및 지구 평균온도 등을 감안한 시나리오를 말한다.

금감원은 이날 "공동작업반 운영을 통해 기후 시나리오 분석 및 스트레스테스트가 실시될 경우 향후 금융회사의 주요 잠재위험요인 중 하나인 기후리스크에 대한 측정 및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후 시나리오공동작업반 참여사 목록 (자료=금감원)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