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필요한 포장재 사용이 환경오염을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면서 최근 국내 기업들이 제품포장 줄이기에 나서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코로나19 거리두기 장기화로 지난 2020~2021년 택배물량은 31.7% 증가했다. 택배가 늘어나면서 포장재 쓰레기도 덩달아 늘어나면서 지난해 버려진 택배상자는 33억개를 넘었다. 지난 한해동안 새로 생산된 포장·배달 용기도 11만톤이 넘었다. 개수로 환산하면 무려 21억개에 달한다.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배달음식용 포장재는 이물질이 묻어 재활용이 어렵다.
재활용이 어려운 포장재들은 일반쓰레기처럼 소각되거나 매립된다. 결국 포장재가 늘어날수록 탄소배출량이 증가하고, 이는 지구온난화에 악영향을 미치는 셈이다. 더구나 플라스틱 포장재는 그대로 매립될 경우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해 토양과 바다를 2차 오염시키고 있어 더욱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 미세플라스틱 조각은 결국 사람과 동물의 몸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포장재를 제작할 때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기업들은 제품 포장재를 줄이거나 친환경 소재로 바꾸는 등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택배상자 빈공간을 채울 수 있는 친환경 완충재 종이를 지난해부터 생산하고 있다. 물건을 파손을 막기 위해 택배상자 빈공간을 대부분 비닐로 채우고 있는데 이를 100% 친환경 종이로 채운다면 그만큼 비닐 쓰레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어 CJ대한통운은 빅데이터를 분석해 상품별로 최적의 상자크기를 찾아내는 '빅데이터 패키징' 기술도 도입한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택배상자 크기를 평균 10%까지 줄일 수 있어, 그만큼 종이도 절약하고 쓰레기 배출도 줄어든다.
삼성전자도 올 2월 출시된 갤럭시S22부터 100% 재활용 용지로 포장재를 만든데 이어, 6월부터는 생산공장에서 국내 서비스센터로 보내는 서비스 자재의 배송용 상자와 테이프를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고 있다. 배송용 상자는 지속가능산림인증활동에 적용된 소재이고, 테이프는 비닐에서 종이테이프로 바꿨다. 완충재는 비닐에서 종이로 바꿨고, 지퍼백은 5% 이상 재활용 원료를 함유한 RCS 인증제품으로 교체했다.
축산물 포장재도 바뀌고 있다. 대상홀딩스의 자회사 혜성프로비젼은 축산물을 소량 포장해 판매하는 포장재를 플라스틱에서 종이로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했다. 홈플러스는 호주산 쇠고기 특수부위 6종을 국제삼림관리협의회(FSC) 인증 친환경 종이 포장재에 담아 판매하고 있다. 기존 플라스틱 포장재 대신 사용된 이 종이는 재활용으로 분리배출할 수 있다. 축산물 포장을 종이로 대체하면 연간 120톤의 플라스틱이 감축될 것이라고 한다.
포장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도 '0 탄소'를 시행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대상라이프사이언스의 '프로틴 리저브' 제품은 국내 최초로 '토이투(Toitū) 탄소ZERO(무탄소) 인증'을 획득했다. 이 제품은 원료가 국내에서 제품이 되어 판매처로 배송되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배출된 탄소를 구매한다. 판매금액 일부는 개발도상국 탄소저감 프로젝트에도 투자된다. 제품에는 대나무를 활용한 친환경 FSC 포장재를 사용했다.
플라스틱 포장 자체를 경량화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생수 브랜드 '아이시스8.0'의 200mL·300mL 페트병 몸체 무게를 10% 줄였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무게도 10% 줄였기 때문에 쓰레기 부피도 그만큼 줄어든다. 롯데칠성음료는 "이번 페트병 개선으로 인해 롯데칠성음료는 한해 약 116톤의 플라스틱 사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