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소비 '세계 3위' 한국...쓰레기 시멘트에 안전기준도 '허술'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6-28 15:26:31
  • -
  • +
  • 인쇄
시멘트 염소함유량 기준은 일본의 20배
공장 일산화탄소 배출량 최대 3000ppm
▲목조주택이 펼쳐진 독일의 도시풍경(좌)과 아파트가 즐비한 우리나라 도시풍경(우) (사진제공=최병성)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소비하는 시멘트 양은 0.91톤으로 '세계 3위'에 달하지만 시멘트 안전기준은 허술하기 짝이 없다는 지적이다.

한국시멘트협회가 공개한 '2020 한국의 시멘트 산업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간 시멘트 소비량은 4712만톤으로, 세계 시멘트 소비량 상위 20개국 가운데 9위지만 국민 1인당 소비하는 시멘트의 양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국토면적으로 따지면 우리나라 시멘트 소비가 사실상 1위나 마찬가지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국토 면적이 214만㎢로 우리나라보다 21배 넓고, 중국은 이보다 더 넓은 959만㎢에 이른다. 

특히 국토면적이 982만㎢으로 우리나라보다 98배 큰 미국은 국민 1인당 한해 시멘트 소비량은 0.3톤에 불과하고, 우리나라보다 면적이 3.7배 넓은 일본도 0.3톤 정도다. 면적 35만㎢에 이르는 독일의 1인당 소비량도 0.3톤 규모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이 이들 나라에 비해 3배나 많다.

국토면적이 고작 10만㎢에 불과한 우리나라에서 소비되는 시멘트가 1년에 4700만톤이 넘는다는 것은 그만큼 시멘트로 짓고 있는 시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미국과 독일, 일본 등에서는 주거용으로 시멘트 대신 목조주택을 주로 짓지만, 우리나라는 대부분 시멘트로 주택을 짓고 있다. 도심에 즐비한 아파트가 이를 방증한다.

▲국가별 시멘트 소비량 (자료제공=최병성)


이처럼 우리나라는 주택 대부분이 시멘트로 지어졌지만 시멘트에 대한 안전기준은 몹시 허술하다. 더 큰 문제는 시멘트를 제조할 때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온갖 쓰레기를 넣는다는 사실이다. 

환경운동가 최병성 목사는 "중국은 시멘트 소비량이 많지만 시멘트에 쓰레기를 넣지 않기 때문에 시멘트에 발암물질이 없다"면서 "하지만 우리나라는 시멘트를 제조할 때 쓰레기를 넣도록 허용돼 있기 때문에 어느 나라보다 안전기준이 철저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성토했다.

실제로 최 목사가 2007년 중국과 한국의 시멘트를 원진노동환경건강연구소에 분석 의뢰한 결과, 중국시멘트에선 발암물질이 나오지 않았지만 국내 시멘트에선 환경부 기준 20ppm를 5배나 초과한 110ppm이 검출됐다.
 
또 일본은 시멘트공장들이 염소(CI) 함유량 1000ppm 이내의 폐기물을 사용하지만 우리나라 염소 함유량 기준은 2만ppm이다. 일본 기준치보다 무려 20배나 높게 설정돼 있다. 염소가 많으면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 발생이 늘고 시멘트 철근을 부식시켜 안전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우리나라 환경부는 시멘트공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가운데 먼지(Dust)와 염화수소(HCI), 질소산화물(NOx) 3가지만 의무 규제하고 있다. 반면 독일 등 유럽연합(EU)은 이 3가지 오염물질 외에 탄화수소(TOC), 불화수소(HF), 황산화물(SOx), 수은(Hg) 등 7가지를 30분 단위 또는 1일 단위로 실시간 측정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탄화수소 등 나머지 오염물질에 대해 시멘트공장들의 자율규제에 맡기고 있는데 시멘트회사들은 이 수치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최병성 목사는 "목동 쓰레기소각장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 배출량은 기준치 50ppm보다 훨씬 낮은 6.05ppm에 불과했다"면서 "그런데 어렵게 구한 국립환경과학원 자료를 보니, 시멘트공장의 CO 배출량은 무려 1200~3001ppm에 달했다"고 밝혔다. 시멘트공장 인근 주민들은 이렇게 무방비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를 그대로 마시고 있는 셈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시멘트 소성로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표준산소농도 기준이 13%인데, EU와 일본의 기준은 10%다. 미국 시멘트소성로 기준은 이보다 낮은 7%다. 최 목사는 "환경부는 2009년 소성로 관리 기준을 10%로 낮추는 개선방안을 마련해놓고서도 13년간 실행하지 않고 있다"면서 "이는 심각한 직무유기"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병성 목사는 "새집증후군과 아토피로 고통받는 아이들이 급증하는 이유도 쓰레기 시멘트 아파트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1999년 8월 쓰레기 시멘트가 허가된지 23년이 흘렀으므로 정부는 지금이라도 시멘트 등급제와 사용처 제한 등을 법제화해 국민의 건강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삼성물산, 판교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사과..."모든 공사중단"

삼성물산은 29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PSM타워'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60대 하청 노동자가 작업중 사망한 사고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사과한

KT "해킹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

KT가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5개월간 무료 데이터 100기가바이트(GB)와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또는 단말기 교체비를 지원한다고 29일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기후/환경

+

목표를 이미 60% 달성?...2035년 NDC 산업 배출전망 '뻥튀기'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과거의 '산업부문 배출 과대추정 방식'이 그대로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윤석열 정부가

해상풍력 확대한다면서..."개정된 기후부 지침서 환경·주민 배제"

정부가 개정한 해상풍력 환경성평가 지침에 환경영향과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녹색연합과 함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