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모래 채굴 국제표준화, 모니터링 필요"
전세계적으로 모래와 자갈의 채굴 속도가 자연적으로 보충되는 속도보다 빨라, 모래 자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유엔이 26일(현지시간) 발간한 '2022 모레와 지속가능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500억톤의 모래와 자갈이 채굴되고 있다. 이는 지구 둘레에 높이 27m, 너비 27m의 벽을 쌓을 수 있을 정도의 양이다.
모래는 물 다음으로 많이 이용되는 자원이지만, 중요한 광물자원으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이에 유엔은 이번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인간이 모래에 의존하는 정도를 감안할 때 모래에 대한 이해와 가치평가의 근본적인 인식변화가 시급하다"면서 "모래의 채굴과 공급망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동식물 종의 손실에 대한 조치, 모래 채굴의 불균등한 사회적·경제적 영향을 보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모래 채굴은 호수와 강에서 이뤄지기도 하고, 토지나 암석 파쇄를 통해 이뤄지기도 한다. 문제는 현재 채굴 속도가 모래가 자연적으로 보충되는 속도를 훨씬 능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모래 자원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고 공평하게 관리하려면 채굴 관련 국제표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 방안 중 하나로 골재의 광물 소유권을 위한 법적체계 확립을 권고했다. 보고서의 주요저자 파스칼 페두지(Pascal Peduzzi) 유엔환경프로그램 글로벌자원정보 데이터베이스 책임자는 "전체 개발이 모래에 의존한다면, 이는 엄연히 전략적인 소재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보고서의 또다른 저자인 크리스 해크니(Chris Hackney) 뉴캐슬대학 박사는 "목표는 모래를 광물 매장지, 물, 석유 및 가스 등 다른 자원과 동일한 관점에서 취급해야 하는 재료이자 상품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런 자원들은 모두 표준화된 국제 프레임워크 내에서 운영되며, 지역에서부터 국가수준까지 규제된다"며 "그런데 이 규범에 모래와 자갈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모래와 자갈에 대한 사용량 정보는 사실상 블랙홀 상태다. 보고서는 "현재 모래공급 기반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총 생산량만 추정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세계골재정보네트워크(Global Aggregates Information Network)는 모래의 총 생산량이 2020년 422억톤에서 2021년 443억 톤으로 전년대비 4.9%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모래 채굴은 생물다양성을 훼손하고, 모래언덕과 같은 자연방파제를 파괴해 홍수위험을 높인다. 이로 인해 어업인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심지어 연료분쟁까지 불러일으킨다. 모래 채굴은 기후위기도 가담하고 있다. 최근에는 모래가 들어가는 콘크리트 부문의 탄소배출량이 세계에서 세번째로 높다는 추정이 나왔다.
2050년 전까지 세계 인구는 100억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고, 이 인구의 약 70%는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모래 수요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고, 모래와 자갈이 줄어들면서 다양한 생물종들이 위기에 내몰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1000종 이상의 멸종위기종이 모래와 자갈 채굴로 피해를 입고 있으며, 이 피해범위는 2만4000종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세계 각국은 건설주도 성장에 기반한 코로나 회복전략을 추구하면서 골재 수요가 다시 급증하고 있다. 해크니 박사는 "표준화가 지금까지 불법 관행으로 이뤄진 모래 채굴의 범위를 설정하고 억제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는 공급망 모니터링 개선 및 정부, 산업 및 기타 이해관계간 연결에 대한 정밀조사와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