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만 실종된 게 아니다…기후변화·집약농업에 곤충수 '급감'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4-21 15:34:44
  • -
  • +
  • 인쇄
UCL 연구진 "서식지 심각하게 파괴된 곳, 개체수 절반 수준"

기후변화로 꿀벌만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수많은 곤충 종들의 생태계가 붕괴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진은 기후변화와 토지남용이 곤충의 개체수를 49% 감소시켰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기온상승과 토지개발이 곤충을 손실시키고 있음을 최초로 확인했다.

연구진은 전세계에 걸쳐 6000여개의 토지이용 현황과 지역에 서식하는 곤충 1만8000종의 개체수 추이를 분석했다. 그리고 지역농업의 집약도와 지역별 기후변화 추이에 따른 최근 20년간의 지역별 곤충 생물다양성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현대적 집약농업과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심각하게 파괴된 지역은 그렇지 않은 자연서식지보다 곤충의 수가 49%, 다른 생물종의 수가 29% 더 적었다. 특히 열대지역에서 토지이용 및 기후변화와 관련된 곤충 생물다양성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나마 서식지가 파괴된 지역의 인근에 자연서식지가 있을 경우 생물다양성 손실을 완충하는 역할을 했다. 토지의 75%가 자연서식지로 덮인 곳은 곤충 개체수가 7% 감소하는데 그친 반면, 자연서식지 면적이 25%인 지역은 개체수가 63% 감소한 것이다. 많은 곤충들이 더운 날 그늘을 찾아 식물에 의존하기 때문에 자연서식지가 손실될수록 기온상승에 더욱 취약해지는 것이다.

연구진은 인간의 영향으로 인한 곤충 감소 및 생물다양성 손실은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되고 있고,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오염 등 다른 동인까지 고려할 경우 그 피해가 훨씬 심각할 것으로 우려했다.

연구의 수석저자 찰리 아웃화이트(Charlie Outhwaite) UCL 생물다양성환경연구센터 생물과학박사는 "지역생태계에 중요한 곤충이 줄면 자연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수분 매개체의 손실로 인간의 건강과 식량안보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후변화가 악화되고 농업지역이 확장되면서 많은 곤충들이 인간의 압력에 매우 취약한 상태"라며 "이번 연구결과는 자연서식지를 보존하고, 고강도 집약농업의 확장을 늦추고, 배출량을 줄여 기후변화를 완화할 조치가 시급함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선임저자 팀 뉴볼드(Tim Newbold) UCL 박사는 "농경지의 곤충 수분자는 야생지 대비 70% 이상 적어 농업확장에 특히 취약하다"며 "인구의 식량수요가 증가할수록 집약농업의 환경적 피해도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농지 인근 자연서식지를 보존하는 등 농업지대를 세심하게 관리하면 곤충을 번성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피터 맥캔(Peter McCann) 공동 제1저자는 "많은 종이 영원히 사라지기 전에 곤충이 환경과 인간의 건강에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화석연료 기업들 배출한 온실가스...30년간 28조달러 폭염피해 유발

지난 30년동안 전세계 화석연료 기업들로 인한 폭염 피해가 28조달러(약 4경185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미국 스탠퍼드대 크리스토퍼 캘러핸 박사와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