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 멀었다'...韓 '일하는 여성환경' 유리천장 지수 10년째 '꼴찌'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3-08 14:38:57
  • -
  • +
  • 인쇄
한국 유리천장 지수 29개국 중 '29위'


일하는 여성의 환경을 평가하는 '유리천장 지수'에서 한국이 여전히 '꼴찌'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가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을 맞아 발표한 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100점 만점에 종합 20점대를 받아 조사대상 29개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2013년 시작된 이 평가에서 10년 연속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여성은 여전히 가정과 직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가 매년 산출하는 유리천장 지수(The glass-ceiling index)는 10개 지표를 참조한다. 이는 △남녀 고등교육 격차 △남녀 소득격차 △여성의 노동 참여율 △고위직 여성 비율 △육아비용 △남녀 육아휴직 현황 등의 지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낮은 점수를 받는다는 것은 일하는 여성의 환경이 전반적으로 열악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9개국 유리천장 지수 순위 (사진=이코노미스트)


한국은 남녀 소득격차 29위, 관리직 여성 비율 29위, 기업 내 여성 이사 비율 29위, 여성 노동 참여율 28위, 남녀 고등교육 격차 28위, 의회 여성 의석 비율 27위 등 대다수 부문에서 저평가를 받았다. 이는 한국 여성이 다른 선진국 여성보다 사회적 권한이 작고 노동시장에서 소외되는 수준이 높으며 심각한 소득 불평등을 겪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 남녀소득 격차가 무려 35%"라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고작 59%로 남성의 79%에 비해 현저히 낮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여성의 사회적 권한을 높이기 위해 추진해온 제도도 미진한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까지 정부 고위직의 10%, 공기업 임원직의 20%, 정부 위원회의 40%가 여성몫이 되는 것을 목표했지만 유리천장지수는 여전히 낮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상장기업의 경우 사내이사의 2%만 여성이며 여성이 대표인 기업은 109곳 중 1곳꼴로 1% 미만이라고 밝혔다. 또 관리직의 10% 남짓만 여성으로 채워지는 등 민간부문에서도 성평등이 부진하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여성은 가사, 장보기같은 무보수 활동을 남성보다 5배 정도 많이 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는 또 "문화적, 사회적 규범이 일터에서 성평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측된다"며 "아시아에서 많은 여성이 가족 또는 전문직업 사이에서 양자택일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스웨덴은 80점을 넘어 여성의 환경이 가장 좋은 국가로 분석됐다. 이들 조사대상 29개국 중 17개국만이 OECD 평균을 넘었다. 조사대상 29개국은 유리천장지수가 높은 순서대로 스웨덴, 아이스란드, 핀란드, 노르웨이, 포르투칼, 벨기에, 프랑스, 뉴질랜드, 폴란드, 캐나다, 슬로바키아, 덴마크, 스패인, 호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영국, 독일, 아일랜드, 미국, 네덜란드, 이스라엘, 체코, 헝가리, 그리스, 스위스, 터키, 일본, 한국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