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마른 북극 하늘에 번개가 7000번?...원인은 '지구온난화'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1-10 11:34:08
  • -
  • +
  • 인쇄
기온 1°C 상승할 때 낙뢰 횟수 12% 늘어
온난화로 습도·온도 늘면서 대기 불안정


북극의 마른 하늘이 지구온난화로 습윤해지면서 지난해 낙뢰가 7278회나 내리쳤다. 이는 지난 9년동안 내리친 낙뢰 횟수의 약 2배에 달한다.

핀란드 뇌우감지기 제조업체 바이살라(Vaisala)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례낙뢰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동안 북극 대부분의 지역에서 낙뢰는 거의 관측되지 않았다. 하지만 2019년을 기점으로 북극에서도 가장 높은 위도에 속하는 북위 80도 이북지역에서 낙뢰 횟수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상황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우려를 표했다. 최근 북극은 낙뢰 횟수가 늘었을 뿐 아니라 기온상승이 지구 평균의 3배에 달하는 속도로 올라가고 있기 때문이다. 바이살라 소속 연구원 크리스 바가스키(Chris Vagasky)는 7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와의 인터뷰에서 "북극의 기상조건이 변화하면 냉해나 폭염, 강우량 급증 등 이상기후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낙뢰를 기후변화를 특징짓는 주요변수인 '핵심기후변수'(ECV)로 지정한 바 있다. 특히 북극의 낙뢰는 기후변화로 극지방까지 고온다습한 공기가 침범했음을 시사한다. 뇌우가 발생하려면 불안정한 대기와 상승작용 그리고 높은 습도가 필요하다. 연구자들은 근래 지구온난화로 북극 해빙이 녹으면서 증발한 수분으로 대기중 습기가 많아졌고, 상승한 기온이 대기 불안정성을 유발해 벼락이 발생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 형성된 것으로 분석했다.

매년 평균적으로 산불의 15% 가량이 낙뢰로 발생한다. 낙뢰로 발생한 산불은 피해면적이 크다. 지난해 시베리아, 미국, 터키 등 전세계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17억6000만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이때 배출된 이산화탄소로 지구온난화가 더 가속화되면서 낙뢰가 더욱 빈번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낙뢰는 직접적인 인명피해로 이어지기도 한다. 지난해 브라질에서만 2억회가 넘는 낙뢰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120여명이 사망했다. 미국도 지난해 약 1억9455만회의 낙뢰가 발생했는데, 이는 전년대비 2400만회 늘어난 수치다. 전문가들은 기온이 1°C 상승할 때마다 낙뢰 횟수가 12%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바가스키 연구원은 "기후변화로 낙뢰가 더 빈번해졌고, 낙뢰로 인한 산불도 더 늘어나고 있다"며 "북극의 낙뢰 추이를 감시하는 일은 중요하고,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佛 파리 면적의 1.5배가 '잿더미'…기후변화가 빚은 산불

프랑스 남부에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파리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기후변화로 발생한 이례적인 가뭄이 산불로 이어졌다는 것이다.프

[주말날씨] 천둥·번개 동반한 '국지성 호우'...남부지방 최대 150㎜

이번 주말에 또다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호우가 내리겠다. 토요일인 9일 오후부터 일요일인 10일 오후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6일(현지시간) 유

장마철에 몰래 폐수 방류 '딱 걸렸다''...경기도 12곳 적발

장마철을 틈타 폐수를 방류한 업체들이 덜미를 잡혔다.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주요 폐수 배출사업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