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설익은 정책 '뭇매'...디지털 상황판 없애놓고 '메타버스' 구축?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1-11-05 11:25:12
  • -
  • +
  • 인쇄
내년말까지 메타버스 종합민원실 구축에 39억
청년과 주민자치, 도시재생 예산은 모두 '싹둑'
서울시가 지방정부 최초로 '메타버스'를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나섰는데 시민들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서울시가 지난 3일 발표한 '메타버스 서울 추진계획'에 따르면 서울시는 자체 플랫폼인 '메타버스 서울(가칭)'을 2022년말까지 구축한뒤 2026년까지 총 3단계에 걸쳐 이를 완성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1단계 사업예산으로 39억원을 배정했다.

그러나 시의 이같은 계획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비판이 나오고 있다. 그 이유가 뭘까.


◇ "현재 온라인 민원과 뭐가 달라?"

▲서울시에서 발표한 메타버스 개념도(자료=서울시)


가장 먼저 현재 인터넷 민원과 메타버스 민원이 다를 게 없다는 지적이다. 서울시는 "2023년에는 메타버스에 설치된 가상 종합민원실을 통해 시청민원실을 찾아야만 할 수 있었던 민원과 상담서비스를 메타버스에서 하겠다"면서 "이런 업무는 아바타 공무원들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런데 뉴스트리 취재결과 이는 사실과 달랐다.

서울시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전화통화에서 "오프라인에서만 가능한 민원을 메타버스에서 가능하도록 하려는 것은 아니다"며 "메타버스 민원실은 기존 온라인 민원실을 매타버스에 구현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특별히 메타버스를 통해 처리할 수 있는 민원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기존에 보도된 내용과 다르지 않냐는 질문에 "저희 쪽에서는 그런 식으로 이야기 하지 않았다"며 "우리가 원래 계획했던 것과는 다르다"고 해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또 "아직 기초연구 단계"라며 "각 부서에서 이런 것들은 메타버스로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취합해 로드맵에 반영한 것"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예를 들어 핀테크랩 플레이그라운드는 핀테크 스타트업를 위한 창업박람회를 메타버스에서 개최하거나 사무실을 메타버스에 만드는 정도"라고 밝혔다.

'메타버스 서울'은 설익은 정책이라는 비판과 함께 오세훈 서울시장의 초기 행보와 상반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 시장은 취임초기 서울시장 집무실에 설치된 디지털 시민시장실을 철거한 바 있다.

디지털 시장실은 서울시의 각종 행정 빅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시정에 대한 각종 지표를 비롯해 재난안전, 교통상황, 코로나19 확진자 상황 등 시민들에게 직접 영향을 주는 데이터를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중국 베이징을 비롯해 해외 250여개의 도시가 벤치마킹할 정도로 훌륭하다고 평가받은 바 있다.

그런데 오 시장은 이를 '전임 시장의 잔재'라며 철거해버렸다. 이에 전문가들조차 "이미 구축한 좋은 디지털 시스템은 철거하고 거액을 들여 메타버스를 구축하겠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하고 있다. 한 IT 전문가는 자신의 소셜서비스(SNS)에 "코로나 상황을 브리핑 패널로 보고받는 사람이 임기 막바지가 되자 치적 남기기성 사업을 남발한다"고 비꼬았다. 


◇ 청년사업은 줄이면서 '메타버스' 구축?

서울지역 청년단체들이 예산 삭감에 항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구나 오세훈 시장은 취임한 이후 청년과 주민자치, 도시재생 등 기존에 추진되던 위탁사업 예산을 줄줄히 삭감했다. 이달 1일 서울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예산안을 살펴보면 청년공간 사업은 158억원에서 83억원으로 줄었다. 또 올해 66억원이던 서울 청년센터의 내년 예산은 25억원으로 절반 이상 싹둑 잘라버렸다. 도시재생사업은 90억원에서 23억원으로 75%가량 줄였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당장 내년에 계획한 일상적인 사업조차 못하게 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퇴행적인 오세훈 서울시정 정상화를 위한 시민행동 준비위원회'는 지난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무차별적인 예산삭감을 남발하고 있다"며 "개인의 야욕으로 서울시민의 삶의 기반이 무너지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 시민단체 활동가는 "실적을 내고 있는 시민단체 지원 예산은 효율을 목적으로 감축하고 탁상행정의 극치인 메타버스에는 거의 40억원에 달하는 돈을 쏟아부으려고 하고 있다"며 "누가 누구를 비효율적이라 말하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여론도 냉소적이다. 한 누리꾼은 "따릉이예산 깎아서 한다는 것이 메타버스 서울이냐"고 기막혀 했다. 또다른 누리꾼은 "이미 전산화가 잘 되어 있는데 굳이 메타버스를 만들 필요가 있냐"고 반문하며 "(메타버스를) 구축하면 정보접근성이 취약한 노인분들은 거기에 접속할 수 있는거냐"고 반문했다. 

얼마전 서울시는 따릉이 예산을 감축했다가 시민들의 항의를 받은 적이 있는 만큼 시민들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기후/환경

+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산칼슘 저장하는 무화과 나무...왜?

무화과 나무가 자신의 일부를 돌처럼 만들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대학(UZH) 마이크 로울리 박사 연구팀

녹색전환硏, 노원구와 시민맞춤 ‘탄소중립 안내서’ 발간

서울 노원구에서 전국 최초로 시민 눈높이 '탄소중립 안내서'를 발간했다. 녹색전환연구소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와 서울 노원구와 함께 '탄소중립

벌채지역 제품 판매금지...유럽 '산림벌채법' 앞두고 회원국들 반발 확산

오는 12월 세계 최초로 '산림벌채법'(EUDR) 시행을 앞두고 있는 유럽연합(EU)에서 주요 회원국들이 규정 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법은 벌채된 땅에서

온난화로 빙하 녹으면서…전세계 화산 폭발 더 격렬해진다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그 영향으로 전세계 화산 폭발이 더 빈번하고 규모도 커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연구

전세계 덮친 가뭄 '지구적 재앙'…강원 동해안도 생활·농업용수 위기

전세계가 폭염뿐 아니라 가뭄의 습격도 받고 있다. 지구 곳곳에서는 최악의 가뭄이 이어지면서 물부족 사태를 겪고 있고, 우리나라 강원도 동해안의

폭염에 카디건·셔츠 매출 '쑥'...이상기후에 뜨는 '시즌리스 상품'

이상기후가 일상화되면서 백화점 소비패턴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장마철 대표 아이템으로 꼽히던 레인부츠와 방수재킷 대신 실내 냉방 환경에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