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thumbimg

합병 앞둔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5000억 자사주 취득완료
셀트리온그룹은 지난 7일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양사 통합 5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셀트리온그룹은 지난달 23일 셀트리온 총 242만6161주(취득금액 3651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 총 244만주(취득금액 1644억원)...2023-11-08 09:52:03 [이재은]

thumbimg

종근당, 신약후보 물질 1조7000억 '잭팟'...노바티스에 기술이전
▲종근당 충정로 본사 (사진=종근당) 종근당이 글로벌 제약사에 1조7000억원 규모로 기술이전한다.종근당은 희귀난치성 유전병인 샤르코-마리-투스병 치료제로 개발중이던 'CKD-510'을 세계적 제약사 노바티스(Novartis)에 기술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023-11-06 15:42:14 [이재은]

thumbimg

혈관에 흐르는 '혈구' 촬영하는 기술 개발됐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별도의 보조물질없이 혈관 속에서 흐르는 혈구들을 고속으로 촬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카이스트) 기계공학과 KI헬스사이언스연구소 오왕열 교수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복잡한 3차원 혈관구조 안에서 흐...2023-11-01 10:02:42 [조인준]

thumbimg

셀트리온헬스케어, 유엔 항암제 입찰 성공...연말부터 개도국에 공급
▲셀트리온의 항암제 '트룩시마' (사진=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올연말 국제연합(UN)을 통해 항암제 2종을 개발도상국에 공급한다.셀트리온헬스케어는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이하 UNDP)에서 ...2023-11-01 09:37:40 [김나윤]

thumbimg

2030년까지 합성생물학 바이오 신물질 100개 개발한다
▲합성생물학 6대 분야 핵심기술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2030년까지 합성생물학 기반 바이오 신물질 100개 개발하고, 이 가운데 5개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바이오제조의 핵심기술인 합성...2023-10-30 16:25:56 [이재은]

thumbimg

국립공원에 구급함 비치...동국제약 '야영객 안전예방' 캠페인
▲동국제약은 '마데카솔과 함께하는 국립공원 산행안전 캠페인'을 진행했다. (사진=동국제약) 동국제약은 전국 주요 야영장 및 대피소에 야영객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구급함과 구급용품을 비치하고 '마데카솔과 함께하는 국립공원 야영객 안전예방 캠페인'을 진행했다고...2023-10-30 14:16:22 [김나윤]

thumbimg

동국제약 '비만예방' 나선다...리스큐어와 균주개발 협약
▲동국제약 본사 (사진=동국제약) 동국제약이 비만 예방 및 대사질환 유병률 감소를 위해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균주 개발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동국제약은 지난 17일 미생물 및 대사물질 기반 치료제와 건강기능성 소재를 개발하는 바이오기업 '리스큐어바이오사이...2023-10-23 13:26:44 [김나윤]

thumbimg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12월 28일 '합병'...양사 주총 통과
▲23일 진행된 셀트리온의 임시주총에서 서정진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그룹은 23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와 쉐라톤 그랜드 인천호텔에서 각각 진행된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임시 주주총회에서 양사의 합병 안건이 모...2023-10-23 13:20:18 [김나윤]

thumbimg

셀트리온 '짐펜트라' 美서 신약으로 최종 판매 허가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피하주사(SC) 제형 '짐펜트라'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은 자사가 개발한 세계 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의 피하주사(SC) 제형인 짐펜트라(ZYMFENTRA, 미국 브랜드명 '램시마SC')가 ...2023-10-23 10:08:42 [김나윤]

thumbimg

셀트리온헬스케어 '램시마'...유럽 주요국 입찰 잇단 수주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사진=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유럽 주요국에서 개최된 인플릭시맙 입찰에서 경쟁제품들을 제치고 '램시마' 수주를 이어가며 시장점유율 1위를 공고히 지키고 있다.먼저 램시마(성분명:인플릭시맙)는 유럽 주요 5개국(E...2023-10-18 09:39:30 [김나윤]

thumbimg

셀트리온, 갯벌 가치 보호 위한 생물다양성 보전활동 진행
▲셀트리온은 지난 14일 ESG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의 일환으로 인천 송도 갯벌에서 정화활동을 진행했다.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이 지난 14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의 일환으로 지역 내 갯벌 정화활동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이...2023-10-16 14:49:53 [김나윤]

thumbimg

'물벼룩' 살아있는 청소기였네...산업폐수·약물까지 걸러낸다고?
▲물벼룩 (사진=위키백과) 물의 오염정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되는 '물벼룩'이 산업 오폐수와 약물, 살충제까지 걸러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영국 버밍엄대학 연구진은 물벼룩을 이용해 오폐수를 걸러내는 방법을 발견했다고 영국 가디언이 최근 보도했다.산업 오폐...2023-09-30 08:01:02 [김나윤]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日 규슈 400mm '물폭탄'…잠기고 무너지고 '아비규환'

11일 일본 규슈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침수와 산사태, 하천 범람 피해가 잇따르며 사망·실종자가 속출했다. 일본기상청은 구마모토현 다

캐나다 1주일째 '활활'...720건 넘는 산불에 '속수무책'

캐나다가 1주일째 대형산불로 신음하고 있다.10일(현지시간) 캐나다산불센터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725건의 산불이 진행중이다. 연방 정부는 군과

튀르키예 규모 6.1 지진...200km 떨어진 이스탄불도 '흔들'

튀르키예 서부 발르케시르 부근에서 10일 오후 7시 53분쯤(현지시간)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다.이날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에 따르면 지진의

"韓 10대 기업 폭염 책임액 161조원...발전5사가 58% 비중"

지난 13년간 전세계 폭염으로 인한 피해에서 국내 10대 기업들이 차지하는 책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161조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161조원 가운데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