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발전 '암모니아 혼소' 개조사업 멈춰라"...산업장관 후보자 향해 요구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6 09:40:01
  • -
  • +
  • 인쇄


정부가 석탄발전소를 대상으로 추진중인 석탄-암모니아 혼소 실증계획을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면서 석탄발전을 지속하기 때문에 탄소 감축 수단으로 부적절하고, 탈석탄을 저해한다는 것이 이유다.

16일 전국 탈화석연료 연대체 '화석연료를 넘어서'는 삼척 그린파워 발전소의 혼소 개조 사업을 포함해 보령, 당진, 여수, 삼척지역 석탄발전소를 대상으로 추진중인 정부의 혼소 정책이 탈석탄 로드맵을 훼손한다고 비판하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후보자에게 이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혼소 기술은 여전히 검증되지 않은 탄소 감축 수단이라는 지적이다. 삼척 그린파워를 포함해 혼소에 사용될 암모니아는 대부분 해외 화석연료 기반의 '블루 암모니아'로, 생산·운송 과정에서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정부의 청정수소 인증제도는 이와 같은 간접 배출을 반영하지 않아, 마치 혼소율만큼 온실가스 감축되는 것처럼 과대평가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러나 혼소 정책이 시행되면 석탄발전을 향후 십여년간 지속하게 된다. 삼척 그린파워는 국내 최초의 혼소 상업화 사례다. 연대체는 2028년부터 2043년까지 15년간 혼소 기반 전력 생산이 보장될 예정이어서, 탈석탄 전환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사례라고 밝혔다. 시범사업들이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에서 선정되면 3년 이내 상업운전에 돌입하고 15년간 전력계약이 체결된다. 이로 인해 전력시장이 온실가스를 배출하면서도 비경제적인 발전원에 묶여서 탈탄소 전환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구조적 제약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화석연료를 넘어서'는 "정부가 '탈석탄'을 말하면서 동시에 '혼소'를 추진하는 것은 정책적 정합성 측면에서 큰 모순이며,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 역시 사실상 석탄 연장의 도구로 전락했다"고 밝혔다. CHPS는 혼소 발전에 보조금 형태의 경제적 유인을 제공하고 있으나, 2024년 1차 입찰 결과 낙찰률은 11.5%에 그쳐 대다수 사업의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보건상의 위험성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혼소 시 미연소 암모니아 누출, 질소계 대기오염물질(N₂O, NOₓ) 발생 가능성은 물론, 미세먼지 배출량이 기존 대비 81%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있음에도, 이에 대한 규제 기준이나 실측자료는 전무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척을 비롯한 지역에서 실증사업이 빠르게 추진되는 것은 "국민 건강과 생태계를 위험에 노출시키는 무책임한 정책"이라는 비판이다.

삼척석탄화력발전소반대투쟁위원회 하태성 상임대표는 "삼척 주민들은 1270일째 석탄발전소 폐지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캠페인을 이어오고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2030년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논의는 외면한 채, 암모니아 혼소를 통해 발전소 가동을 지속하려는 것은 주민들의 염원을 짓밟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삼척 인근의 석탄발전소에서 매년 약 4000만톤의 온실가스가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암모니아 혼소 계획을 철회하고 삼척 그린파워, 블루파워, GS동해전력, 강릉에코파워 등 석탄발전소의 폐지와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적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후솔루션 홍영락 연구원은 "새 정부는 국제사회의 요구는 물론, 탈석탄 정책 기조에도 부합하지 않는 석탄-암모나아 혼소 사업에 대해 전면적으로 재평가하고 철회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암모니아 혼소 기술은 정책 정합성, 경제성, 온실가스 감축 효과, 미세먼지 배출 등 여러 측면에서 불확실성과 잠재적 위험을 동반하고 있다"며 "이미 한계가 명확히 드러난 암모니아 혼소 발전을 조속히 퇴출하고, 재생에너지 기반의 에너지 전환 계획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시민사회는 이번 서한에서 △삼척 그린파워 암모니아 혼소 개조 사업 즉각 철회, △삼척, 여수, 당진 등 혼소 시범사업 전면 재검토, △CHPS 제도의 구조적 문제 시정 및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화석연료를 넘어서'는 끝으로 "탄소중립 목표에 부합하는 전력 전환은 재생에너지 중심이어야 하며, 혼소처럼 불확실한 기술에 국가의 정책적·재정적 자원이 투입되는 것은 시대적 역행"이라며 정부의 암모니아 혼소 정책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택소노미'는 지난 202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녹색수송 사업에 투입"

신한은행은 22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1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한국형 녹색채

"영농형 태양광, 활성화하려면 '농민·농업' 중심 정책 일관돼야"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려면 농민과 농업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단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최근 정부는 농촌 인구소멸과 에너지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外근로자 8일만에 깨어나..."음식물도 섭취"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에서 감전을 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던 30대 미얀마인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했다는 소식이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

기후/환경

+

폭염에 산불까지...美서부 축구장 1만5400개 '잿더미'

불볕더위가 극심하던 미국 캘리포니아와 오리건주에서 발생하던 산불이 몇 일째 번지면서 축구장 1만5400개 면적에 달하는 1만1000헥타르(ha)가 잿더미로

"생수·햇반·컵라면으로 살아요"...강릉 시민들, 물 부족에 아우성

서쪽지역은 최대 100mm의 폭우가 예보돼 있지만 강원도 강릉은 극심한 가뭄으로 물 부족 사태가 극에 달했다.지난 20일부터 계량기의 50%를 잠그는 제한

경기도, 퇴근길 폭우 대비 오후 6시 '비상1단계' 발령

퇴근길 폭우가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가 25일 오후 6시를 기해 '비상1단계'를 발령한다.경기도는 25일부터 26일 오전까지 경기 북부와 남동부 지역을 중

알프스는 녹고 해변은 사라지고...관광산업 종말 오나?

기후변화로 폭염과 산불 등이 빈번해지면서 80년 후 관광산업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지속가능한 교통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자인 스테

[날씨] 내일까지 중서부 '세찬 비'...가뭄 겪는 강릉은 '찔끔'

25일 인천과 서해안 지역에서 시작된 비는 중부지방으로 범위를 넓히면서 26일까지 이어지겠다. 서쪽과 중부지역은 매우 강하게 비가 내리겠지만 현재

3V 저전력으로 CO2 95% 포집 기술 '세계 최초' 개발

3볼트(V) 스마트폰 충전전압 수준의 저전력으로 95% 이상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