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8 15:35:29
  • -
  • +
  • 인쇄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입하는 기업으로 축소했다.

27일(현지시간) EU 회원국 장관들이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CBAM 개정안'을 승인했다고 로이터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이 개정안은 EU 회원국과 유럽의회의 협의 이후 확정된다. 유럽의회는 이 제안을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CBAM은 EU가 세계 최초로 도입하는 '탄소세'로, EU로 수출입되는 모든 국가의 제품에 대해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배출량 추정치를 근거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개정되기전 CBAM은 150유로(약 23만원) 이상의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력, 수소 등 6개 품목을 수출입하는 기업이 적용대상이었다. 그러나 CBAM 개정안은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입하는 기업으로 적용대상이 축소됐다. 

뿐만 아니라 CBAM 인증서 의무구매 대상 기업을 기존 20만개에서 2만개로 축소했다. 탄소배출량을 신고하고, 배출량만큼 인증서를 구매하도록 의무화된 기업을 무려 90%나 줄인 것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업들은 EU 수출입 제품의 탄소배출량을 충당하기 위한 허가증 구매가 2027년부터 의무화된다. 

개정안이 최종 확정되면 CBAM 적용대상 기업들은 2026년부터 자사 제품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고해야 한다.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유럽에 수출입하는 기업들은 제품을 수출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충당하려면 2027년부터 CBAM 허가증을 구매해야 한다. CBAM 허가증 거래 개시는 2027년 2월 1일부터다.

유럽의회는 CBAM 적용대상 범위를 줄인 것에 대해 "상위 10% 기업이 탄소배출량의 99% 이상을 책임지고 있기 때문에 환경을 위한 CBAM의 실효성은 유지될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CBAM 개정으로 배출량이 많은 기업은 탄소배출량 감축에 대한 압박을 더 크게 받지만, 중소기업은 규제완화를 통해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전국 226개 시군구, 첫 탄소중립 계획 수립…감축사업 본격화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가 모두 탄소중립 실천전략을 담은 '제1차 시군구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해 5월 30일까지 환경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SK이노베이션 신임 대표에 SK E&S 추형욱 대표 선임

SK이노베이션이 추형욱 SK이노베이션 E&S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에는 장용호 SK(주)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됐다.SK이

"탄소중립 정책, 韓 규제 중심인데 美日은 성장지향형 전략"

한국의 탄소중립 정책이 규제에 갇혀있는 사이, 미국과 일본은 탄소감축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우리나라도 이제 탄소중립을 규

EU '탄소세' 2027년으로 연기...적용대상도 '50톤 이상 기업'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적용시점을 2027년으로 1년 미뤘다. 또 적용대상 기업도 연간 50톤 이상의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등을 수출

우리은행, 국내 최초 '기후금융포털' 사이트 오픈

우리금융은 국내 처음으로 기후금융을 테마로 한 종합정보포털인 '기후금융포털'을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이 기후금융포털은 △뉴스와 정책 △리서

SK이노베이션 '탄소저감' 기술 스타트업 10곳 선발

SK이노베이션이 '탄소저감'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 10곳을 선발했다.SK이노베이션은 환경기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에그' 5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기후/환경

+

하와이 산호초까지 위험하다...기후변화와 성게 급증이 원인

하와이 산호초들이 파괴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가득이나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데 급증한 성게의 먹잇감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28일(현지시간) 켈리 반

AI가 제작한 국내 '홍수 위험지도'...침수위험 높은 지역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 의외로 홍수에 취약한 지역인 것으로 인공지능(AI) 분석에서 나왔다.포항공과대학교(POSTECH)와 경북대학교가 인공지능(AI)을 통

EU '2030 55% 감축' 목표 근접…2040년까지 90% 줄인다

유럽연합(EU)이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온실가스를 55% 감축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2040년까지 90% 감축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EU집행

수출입銀-무역보험공사, 모잠비크 가스전 투자 '급제동'?

모잠비크 시민단체와 한국 청년활동가들이 한국수출입은행과 한국무역보험공사가 투자 검토하고 있는 해외 가스전을 상대로 가처분을 제기했다. 이

[영상] 우려가 현실로...빙하 사라진 스위스 마을 산사태로 매몰

기후변화로 빙하가 녹아버린 스위스의 한 산간마을이 산사태로 묻혀버리는 사건이 발생했다.28일(현지시간) 스위스 발레주 블라텐 마을에 대규모 산사

정부, 몽골에서 탄소감축권 확보...게르지역 대기질 개선사업 추진

우리 정부가 몽골지역에서 탄소감축 사업을 추진한 대가로 탄소감축권을 확보하게 됐다.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글로벌 넷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