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월드컵' 축구선수들 전례없는 기후스트레스 겪는다...왜?

손민기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1 15:36:18
  • -
  • +
  • 인쇄
▲높은 온도와 습도에 고통받는 축구선수들 ©newstree


오는 2026년에 치뤄지는 'FIFA 월드컵'에 참가하는 축구선수들은 높은 온도와 습도에 노출돼 건강에 큰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일(현지시간) 폴란드 과학아카데미 기후학자 카타르지나 린드너-첸드로브스카(Katarzyna Lindner-Cendrowska) 연구팀은 월드컵 경기 기간동안 선수들이 경험할 환경적 스트레스를 평가한 결과, 16개 경기장 중 10곳에서 열스트레스 위험이 극에 달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2026년 진행되는 'FIFA 북중미 월드컵'은 캐나다와 미국, 멕시코 등 16개 도시에서 진행된다. 따라서 월드컵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축구선수들은 이 많은 도시를 빠르게 이동하면서 경기를 치뤄야 한다.

연구팀은 기존의 온도측정 방식이 습도나 공기 흐름이 부족하면 추가적인 열 부하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어서 'UTCI' 지수를 사용했다. UTCI 지수는 인간이 특정환경 조건에서 실제로 느끼는 열적 부담을 계산하는 지수로, 온도뿐만 아니라 바람, 습도, 복사열, 옷차림, 운동 강도까지 고려해 새로 도입된 정밀 측정값이다.

기존에는 FIFA가 선수와 코치진, 관중들의 환경적 위험을 고려해 보통 '습구흑구 온도(WBGT)'를 측정했다. WBGT가 32℃를 초과하면 경기 중 2번의 냉각 휴식시간(쿨링 브레이크)이 의무적으로 부여된다. 그러나 WBGT는 실제 열스트레스 수준을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어 불완전한 지표다. 이에 연구팀은 기준을 더 강화한 UTCI 지수를 사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2026년 6월 11일부터 7월 19일까지 각 경기장에서 시간별 평균 열스트레스 위험을 평가했다. 16개 경기장 중 10곳에서 운동 중인 선수들의 UTCI가 46℃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극심한 열스트레스의 임계값을 넘는 수준이다. 특히 휴스턴(Houston), 알링턴(Arlington, Texas), 몬테레이(Monterrey, Mexico)에서 치뤄지는 한낮 경기는 UTCI가 50℃를 초과하며 가장 높은 위험을 보였다.

이들 경기장은 아침과 저녁에 치뤄지는 경기도 열스트레스 위험이 높았다. 또 과달라하라(Guadalajara)와 틀랄판(Tlalpan, Mexico)의 고지대 경기장은 낮은 산소 농도 때문에 추가적인 신체적 부담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환경생리학자 조지 나시스 박사는 "고지대 경기장은 선수들뿐만 아니라 코칭스태프와 저지대에서 이동하는 방문객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6년 월드컵의 경기일정은 9개의 서로 다른 쾨펜-가이거(Köppen-Geiger) 기후구역을 오가며 진행될 예정이다. 이는 선수들에게 극심한 기온차로 인한 신체 스트레스 등 전례없는 생물기후적 스트레스(Biothermal stress)를 가할 가능성이 크다. 쾨펜-가이거는 독일의 기후학자 블라디미르 쾨펜이 제안한 강수 패턴과 온도 특성에 따라 나눈 기후 분류체계다.

이에 연구팀은 경기일정을 조정하거나 선수들의 훈련방법을 조정하는 등 선수들의 열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대책을 제안했다. 이러한 조치가 2026 월드컵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대형 스포츠 이벤트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린드너-첸드로브스카 박사는 "기후변화로 인해 열스트레스 위험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스포츠 이벤트가 안전하고 만족스러운 경험이 되도록 하기 위해 FIFA뿐만 아니라 모든 국제 스포츠 연맹 및 대회 조직자들이 이번 연구결과를 반영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사이언스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대한상의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 모집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 재생에너지 활용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수는 오는 12월 10일~

'한전이 재생에너지 확대 가로막아..."권한집중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국전력공사(한전) 중심의 전력계통 구조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로막고 있어, 전력망 계획·접속권한을 독립기관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지적이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날씨]"마스크 챙기세요"...전국 비·눈에 미세먼지까지 '나쁨'

25일 미세먼지로 서울을 포함한 중부·호남권의 대기질이 나쁘겠다.현재 국외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며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 호남은 미세먼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