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핵 정국에도 동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 일명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강행하고 있다. 이는 국가적으로 막대한 재정적 리스크를 초래할 뿐 아니라 지진 위험 또한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채산성에 대한 회의론과 분석 업체를 둘러싼 논란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탄소 비용까지 고려해 경제성도 부실하다는 전망까지 나온 것이다.
8일 기후솔루션은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가진 문제점들을 분석한 이슈 브리프 '시대착오적 대왕고래 프로젝트 추진, 무엇을 놓치고 있나'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가스와 석유 수요는 2050년까지 현재 대비 79%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 수요도 하락하면 대왕고래 사업이 처치 곤란한 사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석유가스가 해수면으로부터 1km 이상의 심해에 매장되어 있어 시추비용이 회당 1000억원에 달하는 점을 짚었다. 채굴 난이도 또한 높아 실제 생산까지 이뤄지려면 수십조 원의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정부가 제시한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 자원이 성공적으로 채굴돼도 문제다. 채굴로 인한 탄소비용이 적게는 213조원에서 최대 2416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기 때문이다.
이미 세계 50대 은행 52%에 해당하는 26개 은행과 글로벌 상위 50개 손해보험사 중 26%에 해당하는 13개 보험사는 신규 석유·가스 사업에 대한 투자와 보험을 제한하고 있다. 대왕고래 가스전 탐사가 성공하더라도 많은 금융기관이 화석연료 지원을 중단하고 있어 자금 조달에 대한 난항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보고서는 동해안 가스전 개발로 인해 동남권에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들었다. 2023년에 수행된 행정안전부 연구에 따르면 동남권에만 활성 단층이 14개 존재한다.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이 알려지지 않았던 단층에서 발생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석유가스전 개발 행위가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단층을 자극해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다. 지난해 7월 국회 토론회에서는 동해안 지역에서 최대 7.0 규모의 강한 지진이 발생할 수 있어 지진에 유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실제로 영국 더럼대학 교수진의 연구에 따르면 전세계에 발생한 인공지진 728건 중 석유가스전에서 발생한 지진은 107건(14.7%)으로, 지열발전에 의한 지진(57건, 7.8%)의 약 2배다.
전문가들은 대왕고래를 포함한 동해안 지역의 가스전 개발 대신 해상풍력 잠재량 확보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석환 기후솔루션 가스팀 연구원은 "동해안 해상풍력의 기술적 잠재량이 충분한 상황에서 에너지 안보를 위해 가스전을 개발한다는 논리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며 "시대적인 변화를 고려해서 가스전 개발이 아닌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와 함께 배터리와 그린수소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