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너무 저렴한 탓에 한국의 수소환원제철 기술의 경제성이 주요 철강 생산국 가운데 꼴찌다.
3일 기후솔루션이 미국, 홍콩, 노르웨이 기후단체와 함께 '녹색철강 경제학: 세계 그린수소 환원제철과 전통 제철의 경제성'을 비교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 일본, 미국, 유럽연합(EU), 브라질, 호주 등 7개국 가운데 수소환원제철 공정이 가장 비싼 나라는 한국으로 나타났다.
그린수소 가격이 1kg당 1달러일 때 수소환원제철 1톤 생산량의 경제성이 가장 높은 국가는 476달러인 브라질이었다. 그 다음이 호주(516달러)와 중국(517달러), 미국(544달러), 일본(585달러), EU(607달러), 한국(621달러) 순이었다. 가장 경제성이 높은 브라질과 가장 낮은 한국의 차이는 수소환원제철 1톤당 145달러에 달한다. 세계 최대 생산국인 중국과 비교하면 104달러가 차이난다.
고로-전로 방식으로 철강제품을 1톤 생산할 경우 브라질은 504달러가 들고, 호주는 536달러, 중국은 539달러, 미국은 565달러, 일본은 601달러, EU는 668달러가 든다. 모두 수소환원제철보다 비용이 높다. 하지만 한국은 고로-전로 방식 비용이 605달러로 수소환원제철보다 비용이 낮았다.
이같은 가격 차이는 탄소배출권 가격 차이에서 기인했다는 분석이다. 다른 국가의 경우 수소환원제철 전환을 통한 탄소저감 실적을 탄소배출권으로 판매해 상승한 제조비용을 보전할 수 있지만, 한국의 탄소배출권 가격은 1톤당 8000~9000원 선으로 EU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보고서는 한국에서 수소환원제철이 경제성을 확보하려면 탄소배출권 가격이 1톤당 15달러(2만250원) 수준까지 올라와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 경우 수소환원제철 1톤당 생산비용은 596달러로, 고로-전로 방식 비용인 605달러보다 저렴해진다.
이마저도 어디까지나 그린수소 가격을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했을 때의 분석으로, 재생에너지 확대가 어려운 국내 여건상 수소환원제철의 경제성 확보는 허들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기후솔루션 철강팀 김다슬 연구원은 "현재 한국은 그린수소 생산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가격이 비싸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를 위한 전력 구조 개편이 필수적"이라면서 "또 배출권거래제를 효과적으로 운영해 기업이 저탄소 기술에 대한 투자할 수 있는 확신을 줘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