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의 1할은 기후위기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이상기후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01~2023년 우리나라 이상기후지수(CRI)와 산업생산, 소비자물가상승률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이상기후가 산업의 성장을 늦추게 하고 물가를 더 끌어올리는 것으로 추정됐다.
CRI는 이상고온·이상저온·강수량·가뭄·해수면높이 등 5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기준기간보다 이상기후 정도가 얼마나 심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1980~2000년 CRI 지수가 0이라면 2001~2023년의 해당 지수는 1.731이었다. 이상기후에 해당하는 날이 많았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 이상기후 충격은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이상기후 발생 시점으로부터 약 12개월 뒤 산업생산 증가율을 0.6%포인트(p) 깎아내렸다. 농림어업은 최대 1.1%p, 건설업은 최대 0.4%p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반대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충격 후 약 3개월만에 0.03%p 더 높아졌다. 물가 품목별로는 식료품, 과일, 채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자유무역협정(FAT) 체결국과의 교역 비중 등을 활용해 수입을 통한 대체 효과를 배제하면, 이상기후에 따른 인플레이션 추가 상승폭은 0.08%p까지 커졌다. 농축수산물 수입을 하지 않았으면 물가상승 압력이 더 커졌다는 뜻이다.
2001~2023년들어 이상기후가 성장·물가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지속성이 더 커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특히 2023년 이후 월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이상기후가 평균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기후가 지역경제별로 미치는 영향력도 편차가 컸다. 제주도는 전국 평균 대비 해수면 상승도가 높았고, 강원도는 이상고온 현상이 심했다. 두 지역의 경우 이상기후가 미친 영향력과 지속성이 이전보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강수량 증가는 경남, 전남, 부산, 제주가 심해졌고, 전북, 충북, 강원 등에는 가뭄 심화도 뚜렷했다.
정원석 한은 전북본부 기획조사팀 과장은 "2010년 이후 이상기후 현상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도 유의하다"며 "이상기후는 농림어업, 건설업 등 산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