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실내에서 무선랜이나 블루투스 등 무선신호 없이도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연구팀은 무선신호가 없는 건물에서 동작하는 '범용 실내외 통합 위성항법(GPS)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휴대폰 위치추적은 GPS나 기지국 신호를 받아 이뤄지지만, 실내에서는 GPS 신호가 잡히지 않아 무선랜이나 블루투스 등을 이용해야 한다. 연구팀은 무선신호가 없는 건설현장이나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넓은 공장건물 등에서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인식 서비스를 개발했다.
실내외 전환 탐지 인공지능(AI) 기법과 건물 출입구를 탐지하는 AI 기술을 활용해 건물 출입구, 층, 계단, 엘리베이터 등 랜드마크에서의 동작과 사람이 이동하는 속도·방향·거리 등을 파악해 위치를 산출하는 기법인 '보행자 항법기법'(PDR)을 연계해 대상의 위치를 파악한다.
우선 GPS 신호와 관성센서(IMU)에서 얻은 신호를 활용해 사용자가 들어가는 건물을 판별하면, 해당 기법을 활용해 건물 진입 시점과 위치를 실시간 탐지한다. 또 건물 내에서는 기압과 관성센서를 활용해 계단 혹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수직 이동을 탐지하고 기압 정보를 활용해 사용자가 있는 층을 찾아내기도 한다.
연구팀은 GPS 시스템과 더불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신호 칩, 관성센서, 기압센서, 지자기센서, 조도센서를 통합시킨 '위치 전용 사물인터넷'(IoT) 태그도 개발했다. 이 태그는 위성에서 직접 수신되는 신호뿐 아니라 건물에 반사되는 신호도 처리할 수 있어 LTE 신호가 제공되는 전 세계 어느 건물에서도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
한동수 교수는 "어린이나 치매 노인 보호릉 위한 위치 전용 태그로 건설 현장이나 조선소·제철소 등 무선 신호가 없는 환경에서 공장 작업자의 안전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2022년 개발이 시작된 한국형 GPS 시스템(KPS)의 서비스 영역을 실내로 확장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