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석탄발전 늦어도 2035년까지 퇴출 '합의'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4-30 11:42:10
  • -
  • +
  • 인쇄
▲독일 서부 겔젠키르헨에 있는 석탄화력발전소 (사진=연합뉴스/AFP)


주요 7개국 'G7'(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이 2035년까지 석탄발전 퇴출에 합의했다.

2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G7 기후·에너지·환경장관 회의가 열리고 있는 가운데 앤드루 보위 영국 에너지안보·넷제로부 장관은 방송사 클래스CNBC와의 인터뷰에서 "2030년 전반기 내에 석탄발전을 단계적으로 퇴출하기로 합의했다"며 "이는 지난해 두바이에서 열린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도 이룰 수 없었던 역사적 합의"라고 밝혔다.

COP28 최종 합의문에는 산유국들의 반대로 '화석연료로부터 멀어지는 전환'이라는 모호한 표현이 담겼을 뿐 석탄발전에 대한 퇴출과 그 시기를 명확히 정해놓지 않았다. 석탄발전 의존도가 높은 일본이 의장국이었던 지난해 G7 회의에서도 구체적 시한이 제시되지 않았다. 이틀간 진행되는 이번 회의의 공동성명에는 G7 국가들이 2035년 이전까지 석탄발전을 퇴출할 것을 명시하는 한단계 진전된 합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G7은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5분의 1을 차지하고 있고, 전력생산의 16%를 석탄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많게는 일본의 경우 32%, 독일의 경우 25%까지도 차지하면서 기후위기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

이번 회의가 진행중인 이탈리아의 경우 지난해 석탄 화력발전은 전체 발전량의 4.7%를 차지했다. 이탈리아는 석탄 화력발전소 6기 중 2028년이 기한인 사르데냐섬을 제외하고 나머지 5기를 2025년까지 폐쇄할 계획이다.

이탈리아의 기후변화 싱크탱크 에코(ECCO)의 공동 창립 멤버인 루카 베르가마스키는 엑스에 "특히 일본, 더 넓게는 중국과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 전체 석탄 경제에서 청정 기술로의 투자 전환을 가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의 국제기후·에너지정책연구소 엠버(Ember)가 주요 데이브 존스 엠버 글로벌 인사이트 팀장은 "석탄발전의 관짝에 또 하나의 못을 박아넣었다"며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가 석탄발전의 단계적 퇴출을 선언한지 7년이 넘었는데, 미국과 일본도 더욱 분명하게 이에 대한 의지를 밝힌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밝혔다.

다만 석탄발전 비중이 높은 국가들을 위해 탄소포집 등으로 '1.5℃ 목표'나 넷제로 경로에 이상이 없다는 전제 하에 석탄퇴출 시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 재량권을 부여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환경단체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트레이시 카티 그린피스 국제기후정책 담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G7이 '1.5℃ 목표' 달성을 위해 과학자들의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면 2030년 이전에 석탄발전을 퇴출해야 한다"며 "현재 진행중인 기후 응급사태를 감안하면 석탄 뿐 아니라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 전반에 대한 단계적 퇴출을 목표를 제시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천리 70년' 나눔과 봉사 실천..."사랑받는 기업으로 거듭날 것"

올해로 창립 70주년을 맞은 삼천리는 지역사회 곳곳에서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게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면서 나눔상생을 실천하고 있다.20일 삼

네이버, 2024년 재생에너지 사용 통해 온실가스 9144톤 감축

네이버가 지난해 탄소배출량을 3만925톤(tCO2eq) 절감하고, 재생에너지 사용을 통해 감축한 온실가스가 9144톤에 달했다.네이버는 20일 발간한 '2024 통합보

사외이사 안건 찬성률 95.3%...상장사 이사회는 '거수기'로 전락?

사외이사 이사회 안건 찬성률이 95.3%에 달하는 등 올 상반기 국내 상장사들의 이사회 기능과 감사 독립성이 전반적으로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손기원의 ESG인사이드] 보여주기식 'ESG공시' 벗어나려면?

ESG 공시는 더이상 선택이 아니다. 지속가능성 정보가 자본과 규제의 흐름을 결정짓는 시대,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 수준을 점검하고 공시 역량을 평가

노동자 사망사고·압수수색 이후...SPC '컴플라이언스 위원회' 출범

노동자 끼임 사망 사고로 압수수색을 받았던 SPC그룹이 윤리·준법 체계를 감독하는 상설독립기구인 'SPC 컴플라이언스 위원회'를 구성하고 19일 출

틱톡, 광고 제작과정 탄소배출까지 체크한다

숏폼 플랫폼 틱톡(TikTok)이 송출되는 광고는 물론, 해당 광고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까지 측정한다.16일 틱톡에 따르면, 플랫폼 내 광고 캠

기후/환경

+

비 오면 벽체 내려앉아...세계문화유산 무령왕릉 5호분 보존처리 시급

단시간에 많은 비가 쏟아지는 '극한호우'가 이어지는 가운데 공주 무령왕릉 5호분이 장마철 등 강우량이 많은 시기에 토양에 수분이 증가하면서 벽체

지구 기온 4℃ 오르면...2100년 식량 생산량 절반으로 '뚝'

지구온난화로 인해 2100년에 이르면 식량 생산량이 절반가량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솔로몬 샹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연구팀은 지구 평균기온

항공권에 '비행세' 부과하면...기후기금 167조원 확보 가능

항공권에 '비행세'를 부과하면 기후피해 회복기금으로 연간 1060억유로, 우리돈 167조2000억원 이상을 모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19일(현지시간)

올해도 미국은 '열돔'에 갇혔다...다음주까지 폭염 시달려

올해도 미국의 폭염은 더 뜨겁고 길어질 전망이다. 19일(현지시간) 미국 기상청(NWS)에 따르면 이번 주말 중서부에서 동부 연안에 이르는 지역에 열돔 현

환경공익사업 지원금을 로비에 활용?...EU, NGO 자금조사 착수

환경 등 공익사업을 수행하라고 지급된 유럽연합(EU)의 보조금이 NGO들의 정치적 로비에 활용됐다는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EU가 자금 흐름을 들여다보

퍼붓다 그쳤다 반복...수도권 '국지성 폭우'로 피해 속출

인천 등 수도권 곳곳에 강한 비가 쏟아졌다 그쳤다는 반복하는 국지성 호우로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기상청은 일부 지역을 제외한 인천 전역과 경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