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기후 가짜뉴스 퍼트리는데 활용될 것...안전장치 필요"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3-08 18:10:12
  • -
  • +
  • 인쇄



▲보고서 표지 (출처=허위정보에 반대하는 기후행동연합)


인공지능(AI) 기술이 기후위기를 완화하는데 널리 활용되는 한편으로 기후위기와 관련해 가짜뉴스를 퍼뜨리는데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그린피스 등이 소속된 허위정보에 반대하는기후행동연합(Climate Action against Disinformation coalition, CAA)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AI 기술은 AI 구동을 위한 데이터센터 에너지 사용증가뿐 아니라 기후과학을 호도하는 허위사실을 더욱 확산시킬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클 쿠(Michael Khoo) CAA 기후 가짜뉴스 활동가는 "우리는 AI가 지구를 구할 수 있다는 말을 항상 듣는 것 같지만 이런 과대광고를 믿어서는 안된다"며 "사람들은 앞으로 몇 년동안 AI가 얼마나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할지, 그리고 기후변화에 대한 허위정보가 어떻게 범람할게 될지를 알게 되면 분노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AI가 전력소비를 크게 증가시킬 것이라는 우려는 있었다. 하지만 AI가 기후에 대해 가짜뉴스를 퍼트릴 수 있다는 지적은 거의 없었다. 보고서는 "AI는 기후과학에 대한 허위 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진술을 사람이나 조직이 더 쉽게 유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기후 비상사태를 막으려는 노력을 더욱 방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미 주요 소셜미디어는 기후위기를 부정하는 여론몰이의 온상이 되고 있다. 여기에 AI발 가짜뉴스까지 가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쿠 활동가는 "AI가 사람들을 분열시키는 것을 목도하게 될 것"이라며 "AI는 빠르고 값싸게 생산된 쓰레기를 범람시키는 데 완벽한 데다 누구나 AI를 이용해 허위정보를 퍼뜨리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제시 닷지(Jesse Dodge) 앨런 인공지능연구소(Allen Institute for AI) 선임 연구원은 "딥페이크 동영상같은 방법을 통해 기후 허위정보를 가속화고 에너지 사용 증가로 탄소배출량을 늘리는 데 AI가 사용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보고서는 "데이터센터의 에너지효율을 개선하더라도 AI 산업 확장으로 데이터센터는 2배 늘어나 온실가스 배출량도 80%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AI 사용량 증가로 에너지 소비가 크게 늘어나자, 석탄화력발전소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있다. 

또 보고서는 "같은 내용을 검색한다고 해도 AI 프로그램에 질문할 경우 일반적인 온라인 검색보다 10배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고 밝혔다. 가령 챗GPT(ChatGPT)를 훈련하는데 사용하는 에너지는 미국의 12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에너지와 맞먹는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AI 에너지 사용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기후 허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닷지 연구원은 "하지만 AI의 적용 자체는 전기나 물 소비보다 잠재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AI는 무언가를 더 빨리 할 수 있게 해주는 촉진제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쪽에서는 석유를 더 빨리 추출하고 가짜뉴스를 퍼트리는데 AI를 쓰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후 변화의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AI를 사용한다"며 "누구는 기후 모델링을 하고, 다른 연구자들은 불법 어업과 멸종 위기종을 추적하며, 산불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하는 연구소도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기후/환경

+

물이 얼마나 빠졌으면...오봉저수지 20년만에 발견된 '티코'

극심한 가뭄에 저수율이 13%대로 떨어진 강릉 오봉저수지에서 20여년전에 수몰됐던 티코 차량이 발견돼 화제다.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찰과 강원도소

"CCU 기후 해결책 아니다...저장할 지질층 200년 내 고갈"

'탄소포집·저장(CCU)' 기술을 통해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전세계 지질층이 업계 추정치의 10분에 1에 불과하고, 앞으로 20

가뭄에 저수율 13.5% 불과한데...강릉만 비켜가는 '야속한 비'

야속하게도 비가 절실한 강릉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비가 내리고 있다. 강원 내륙에는 최대 20㎜에 달하는 비가 쏟아졌지만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해초 덩어리 '넵튠 볼'...미세플라스틱 필터가 된다고?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만연해지면서, 해초와 미세플라스틱이 공처럼 뭉쳐진 이른바 '넵튠 볼'이 지중해 해변에 떠밀려오고 있다.스페인 바르셀로나

중앙아시아 빙하도 남극의 빙산도 '빠르게 줄고 있다'

기후변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견고하기로 소문난 중앙아시아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고, 세계 최대 빙산의 하나로 꼽히는 남극의 '메가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