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온도는 21.12℃ 역대 최고치
올 1월 땅과 바다 모두 역대 1월 중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8개월 연속 월평균기온 최고치를 갈아치우면서 지구 평균기온이 끝을 모르고 치솟고 있어, '1.5℃ 목표'가 이미 물건너간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유럽연합(EU)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연구소(C3S)는 올 1월 전세계 평균기온 수은주가 13.14℃를 찍고 종전 최고치인 2020년 1월 13.02℃를 제쳤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지난 1991~2020년 1월 평균기온과 비교했을 때 0.7℃ 높고, 19세기 산업화 이전대비 1.66℃나 높은 수치다.
해수온도도 마찬가지로 역대 1월 중 가장 더웠을 뿐 아니라 관측사상 가장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전세계 해수면 평균온도는 20.97℃로, 종전 최고기록인 2016년 1월보다 0.26℃ 더 올랐다. 해수온도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2월초까지도 꾸준히 오르면서 지난 4일 21.12℃를 돌파했다. 이는 종전 최고치인 지난 2023년 8월 20.98℃를 한참 웃도는 수치다.
이에 따라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각국이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하기로 한 '1.5℃ 목표'가 깨진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6월부터 지표면과 해수면 모두 월평균기온 최고기록을 8개월 연속 경신하면서 지난 12개월간(2023년 2월~2024년 1월) 전세계 평균기온은 1991~2020년 대비 0.64℃, 산업화 이전대비 1.52℃ 오른 상태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 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된 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해양생물 '바다수세미' 골격의 화학적 구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미 지구 평균기온은 2020년 산업화 이전대비 1.7℃ 상승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다만 아직 섣불리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는 반론도 나오고 있다. 파리협정에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의 수준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합의가 없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엘니뇨나 대규모 화산폭발 등의 변수를 고려해 20년 평균치를 기준으로 두고 있는데, 시간 터울이 너무 길어 10년 관측치와 10년 예측치를 혼합한 평균값을 지표로 둬야 한다는 제안도 나오는 상황이다.
아울러 지난해 5월부터 '슈퍼 엘니뇨'가 발달하면서 올 4월까지 높은 해수온도가 유지돼 평균기온을 견인할 예정인 가운데 엘니뇨가 잦아들고나면 어느 정도 예년 기온을 회복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2024년이 역대 가장 더운 연도들 가운데 다섯 손가락 안에 들 확률이 99%이지만, 2023년을 제치고 가장 더운 해에 등극할 확률은 3분의 1 정도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그랜섬연구소 의장 브라이언 호스킨스 경은 이번 C3S 데이터에 대해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이 1.4℃ 이내라고 다 안전하고 1.6℃ 올랐다고 다 죽는 건 아니지만, 12개월 평균이 1.5℃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파리협정을 포함한 기후변화 억제 목표를 지키기 위해 시급히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엄중한 경고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