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해 북반구 적설량이 감소하고 적설주기도 급변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겨울동안 산 상층부에 쌓여있던 눈인 '스노우팩'이 봄과 여름에 녹으면서 인근지역 식수원 역할을 하는데 이 '스노우팩'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다트머스대학(Dartmouth College) 지리학과 연구진은 기후변화로 눈폭풍 등이 발생하면서 더 많은 눈을 내리게 할 수 있지만 따뜻해진 기온탓에 이 눈은 빠르게 녹아 '스노우팩'으로 남아있지 않으면서 식수위기가 일어날 수 있다고 최근 발표했다.
'스노우팩'은 얼음 저수지 역할을 하면서 식수원 역할을 하고 있다. 겨울동안 쌓인 눈이 봄과 여름에 녹아 흘르면서 인근 지역에 물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겨울철 온도가 올라가면서 스노우팩이 충분하게 쌓이지 않고 있다. 연구진은 "겨울 평균기온이 영하 8℃까지 떨어지면 해당 지역의 눈은 빠르게 녹기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진은 1981년부터 2020년까지 160개가 넘는 강 유역을 조사했다. 동시에 같은기간 지구온난화가 없는 가상의 세계에서 스노우팩 누적 정도를 모델링했다. 그 결과, 연구 대상의 20%가량에 해당하는 31곳에서 기후변화 영향으로 스노우팩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미국 북동부와 남서부 그리고 유럽 북반구가 적설량이 가장 빠르게 감소하고 있었다"고 했다.
이같은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균일하지도 않고 선형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아니었다. 연구진은 "봄이 다가오면서 기온이 올라가더라도 겨울초반에 충분히 추웠다면 스노우팩이 쌓일 수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겨울 평균기온이 영하 8℃를 넘으면 눈 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의 수석저자인 알렉산더 고틀립(Alexander Gottlieb) 박사는 "조사대상 강 유역 가운데 20%에서는 변화를 분명하게 감지할 수 있었다"며 "해당 강가는 대체로 영하 8℃ 이상으로 따뜻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간은 기후가 온화한 곳에 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수는 가장 많다"고 덧붙였다.
고틀립 박사는 또 "영하 8℃ 임계점 너머의 온난화 정도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며 "온난화가 더 진행되면 인구밀도가 높은 강 유역이 점점 임계점을 초과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의 공동저자인 저스틴 맨킨(Justin Mankin) 다트머스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도 "이 임계점을 넘어선다면 북반구를 비롯 전 지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계에도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스티븐 영(Stephen Young) 살렘주립대학교(Salem State University) 지리학과 교수는 "내가 별도로 계산한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밝혔다. 실제 영 교수가 작성한 논문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전세계 연간 표면적설량은 약 5% 감소했다. 표면적설량은 깊이에 관계없이 지상에 눈이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다.
이같은 적설량 감소는 물 부족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영 교수는 "하얀 눈은 햇빛을 대기로 다시 반사하지만, 어둡고 노출된 맨땅은 햇빛을 고스란히 흡수해 온난화를 가속화시킨다"며 "따라서 적설량이 감소해 지상에 눈으로 덮힌 지역이 없으면 악순환이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10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