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8] 세번째 합의문 초안도 '화석연료 퇴출' 빠졌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12-13 15:58:32
  • -
  • +
  • 인쇄
'단계적 퇴출' 대신 '화석연료 전환' 문구
산유국의 극렬 반대에 초안에서 빠진듯
▲12일(현지시간) COP28이 열리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활동가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이 들고 있는 현수막에는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이라고 적혀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의 새 합의문 초안에 '화석연료 퇴출' 대신 '화석연료 전환' 문구가 들어갔다. 

COP28 의장국인 아랍에미리트(UAE)는 13일(현지시간) 이같은 내용이 담긴 세번째 합의문 초안을 당사국들에게 공유했다고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새 합의문 초안은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10년 안에 화석연료의 '전환'(transitioning away)을 당사국들에 촉구했다. 이는 100여개국 이상이 요구한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phase-out)이라는 표현을 대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향후 10년 이내에 공정하고 공평하며 질서있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화석연료에서 전환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초안에는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개발을 가속화한다는 내용도 들어갔다. 이 기술은 탄소감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논란이 가라앉지 않은 상황인데도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추후 논란이 될 전망이다. 

2030년까지 전세계 재생에너지 생산량 3배 확대, 배출가스 저감이 미비한(unabated) 석탄 화력발전소 폐기 및 신규 허가제한 등 이전 합의문에 담긴 내용은 그대로 유지됐다.

COP28 대표단은 2주간 이어진 회의끝에 끝에 13일 오전 최종 회의에서 이번 합의안을 통과시켰다. COP28은 '화석연료 퇴출'을 둘러싸고 산유국·저개발국과 유럽연합(EU)·일부 선진국 사이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폐회까지 연기하며 최종 합의문을 도출하기 위한 마라톤 회의를 진행했다.

만약 합의안이 통과된다면 1995년 독일 베를린에서 COP가 개최된지 30년만에 처음으로 '화석연료'에 대한 세계적 합의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에스펜 바르트 에이데 노르웨이 기후환경장관은 "세계가 화석연료에서 멀어지는 전환 필요성에 대해 이처럼 명확한 문서로 하나가 된 건 처음 있는 일"이라고 새 초안을 평가했다.

하지만 '화석연료 단계적 퇴출'을 합의문에 넣을 것을 요구한 국가에서 '화석연료 전환'에 합의할지는 미지수다. 유럽연합(EU)와 일부 선진국들은 화석연료 퇴출을 강하게 주장해놨기 때문이다. 전날 미국과 영국 등 일부 국가들은 '단계적 퇴출'이 빠진 합의안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고 엄포를 놓은 바 있다.

세계자연기금(WWF)의 기후변화 전문가 스테판 코넬리우스 박사는 새 초안이 "기존 버전보다 화석연료에 대한 표현이 크게 개선됐으나 석탄·석유·가스의 단계적 퇴출을 촉구하는 데는 여전히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비영리단체 생물다양성센터의 진 수 에너지정의국장은 "전반적으로 볼 때 승리이지만 세부사항에 심각한 흠결이 있다"면서 화석연료 생산국들은 곳곳에 산재한 허점을 악용해 계속 생산량을 확대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