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탄은 증상에 불과 "석유·가스 등 원인 다뤄야"
전세계 정상들이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 모인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정작 기후위기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인 '화석연료 퇴출' 논의는 겉돌고 있어 지난번에 이은 '맹탕' 총회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5일(현지시간) 압둘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 장관은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화석연료에 대한 단계적 감축이 COP28 최종합의문에 담기는 것을 절대 달가워할 수 없다"며 화석연료 퇴출에 대한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최종합의문은 당사국 하나라도 반대하면 채택이 불가능한 만장일치 방식으로 결정된다. 지난 COP26에서는 인도의 반대로 석탄의 단계적 '퇴출'이 아닌 단계적 '감축'으로 결정됐고, COP27에서 제기된 '모든 형태의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은 아랍에미리트(UAE) 등 산유국의 반대로 유보됐다. 화석연료 퇴출을 반대했던 UAE가 이번 COP28의 의장국을 맡으면서 이번 총회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지금까지 UAE가 성과로 내세우는 합의들도 치적쌓기용에 불과할 뿐 화석연료 퇴출 논의를 축소시키기 위한 꼼수라는 비판이 나온다. 일례로 '손실 및 피해기금'의 공식 출범에 대해 술탄 알 자베르 COP28 의장은 "COP 첫날 합의안을 채택한 것은 처음"이라며 강조했지만, 이미 11월초 사전회의에서 결정된 사안이었다. 게다가 강제성이 없다. 미국의 기부금은 유럽연합(EU)의 14분의 1 수준인데다 보조금이 아닌 대출형식이 대부분이어서 개발도상국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118개국이 참여 의사를 밝힌 '재생에너지 3배 확대 결의안'도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지만, 정작 온실가스 배출량 최다 국가인 중국과 인도는 협약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해수면 상승으로 수몰위기에 처한 마셜제도의 환경특사인 티나 스티지는 재생에너지 설비 확충만으로 기후변화에 제동을 걸 수 없다며 "반쪽짜리 해법"이라고 일갈했다.
전세계 원유생산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상위 50개 석유회사들은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의 최대 84배 높은 메탄배출량을 80% 이상 줄이는 데 합의했지만, 이 역시 위장환경주의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진 수 생물다양성센터 에너지정의 담당은 "메탄은 증상일 뿐 원인이 아니다"며 "이 합의는 석유, 가스, 석탄에 대한 현실을 가리기 위한 연막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António Guterres) 국제연합(UN) 사무총장도 산유국들이 메탄을 줄이겠다고 나선 것에 대해 "이는 화석연료 소비로 인한 배출을 없앤다는 핵심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COP28에서 화석연료에 대한 논의는 5일(현지시간)부터 진행될 예정이지만 산유국과 화석연료 기업들의 미지근한 대응으로 퇴출은커녕 감축에 대한 합의점에 도달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화석연료 기업들은 대규모 로비스트를 COP28에 파견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어 해결책 마련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상황을 의식한듯 앨 고어 미국 전 부통령은 "COP28 성공을 가르는 척도는 화석연료 퇴출 포함 여부 단 한 가지"라며 "합의문에 해당 내용이 포함되면 총회는 대성공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COP28에서 공개된 글로벌 탄소예산에 따르면 2023년 전세계 탄소배출량 추산치는 36억8000만톤으로 전년대비 1.1% 증가했다. 지난 1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각국 대표들을 향해 "과학은 분명하다. 1.5℃ 제한은 궁극적으로 화석연료를 그만 태워야만 가능하다"며 "감축도, 상쇄도 아닌 명확한 시점에 기반한 퇴출이 답이다"고 강조한 바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