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열파'에 굶어죽는 바닷새들..."먹이사슬 붕괴 우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7-24 15:02:27
  • -
  • +
  • 인쇄
10년에 한번꼴이던 '바다폭염'
최근 5년연속 "전례가 없는 일"
▲지난 2014년 해안에 떠밀려온 아메리카바다쇠오리 주검 [사진=연안 관측 및 바닷새 조사단(Coastal Observation and Seabird Survey Team, COSST)]

바다의 폭염 '해양열파' 여파로 바닷새가 떼죽음을 당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티모시 존스 해양수산과학 연구원 주도 연구팀은 해양열파가 발생한지 6개월 이후 수 십~수 백만마리에 이르는 바닷새가 사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해양열파는 바닷새들의 먹이사슬을 뒤바꿔놓고, 질병 유병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해양열파는 바다 수온이 역대 관측치의 상위 10%를 5일 이상 웃도는 경우를 말한다.

연구팀은 1993~2021년 미국 캘리포니아 중부에서 알래스카에 이르는 1000여개의 해변에 떠밀려온 106종의 바닷새 9만여건의 주검을 분석한 결과, 엘니뇨나 해양열파처럼 수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때에는 바닷새가 25만마리 이상 떼죽음을 당했다. 예전에는 이같은 현상이 10년에 한번꼴로 나타났지만, 2014년~2019년 사이에 5번의 떼죽음을 당했다. 매해 떼죽음 현상이 발생한 셈이다.

논문의 주요저자 티모시 존스 연구원은 "10년에 한번꼴로 바닷새가 떼죽음을 당하면 개체수를 회복하는데 시간상 여유가 충분했다"면서 "그러나 이제 해마다 발생하면서 빈도뿐 아니라 규모도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이는 전례가 없던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면 유해조류가 증식해 바닷새들의 먹이환경을 뒤바꿔놓는다. 이는 바닷새의 영양상태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기아 상태에 빠지게 만든다. 굶주림에 시달린 바닷새들은 질병에 취약해지면서 수개월 뒤 죽음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지난달 멕시코 연안에서 바닷새 수백마리가 떼죽음을 당한 데 대해 지역당국은 굶주림에 의한 것으로 보고, 원인으로 '엘니뇨'를 지목한 바 있다. 해수온도가 오르면 바닷새들의 먹잇감인 물고기들은 차가운 수역을 찾아 이동하고, 바닷새들은 먹잇감 부족 현상을 겪는다는 것이다.

논문의 교신저자 줄리아 패리시 교수는 "바닷새가 줄어든다는 것은 바닷새를 먹이로 삼는 최상위 포식자가 줄어든다는 의미"라며 "이들을 먹이로 삼는 해양 포유류, 나아가 해양 포유류들이 적절하게 유지하던 어류들의 개체수 균형이 무너지면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들도 위협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논문은 지난 6일(현지시간) 해양생태학분야 저명 국제학술지 '마린 이콜로지 프로그레스 시리즈'(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MEPS)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러쉬 '후탄' 배쓰 밤 출시...수익금 75% 멸종위기종 보호에 기부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코리아가 5월 22일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아 멸종위기 핵심종 보호메시지를 담은 '후탄(Hutan)' 배쓰 밤을 선보였다

카카오, 합병 11년만에 다음 분사...'다음준비신설법인' 설립

카카오가 다음을 합병한지 11년만에 독립법인으로 분사한다.카카오는 22일 오전 이사회를 통해 포털 다음(Daum)을 담당하는 콘텐츠CIC를 '다음준비신설법

국립환경과학원·SK하이닉스 '반도체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에 '맞손'

반도체 생산에서 폐기까지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국립환경과학원과 SK하이닉스가 협력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2일 경기 이천

피자도 받고 소외청소년에 기부도...22일 '업비트 피자데이'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오는 22일 비트코인 피자데이를 맞아 '2025 업비트 피자데이'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비트코인 피자데이'는

현대百, 크리스마스 트리로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조성

현대백화점이 지난해 크리스마스 트리 연출에 사용됐던 전나무를 활용해 도심숲 조성에 나선다.현대백화점은 오는 22일 서울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더

경기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 90% 지원

경기도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내 민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를 지원하는 '텀블러세척기 구입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

기후/환경

+

대선 후보 '기후공약' 첫 TV토론...탄소감축 방안 '극과극'

대통령선거 TV토론에서 처음으로 기후와 환경을 주제로 한 토론이 진행됐다.2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

엘니뇨 물러간 올여름 작년보다 덜 덥고 비 많다

엘니뇨가 물러간 올여름은 지난해보다 폭염은 덜해질 수 있지만 비는 더 많이 쏟아질 예정이다.23일 기상청은 '6~8월 3개월 전망'에서 올여름 기온은 평

기상인력 수백명 해고됐는데...美 허리케인 10개 강타 예고

올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최대 10개의 허리케인이 미국을 강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30년간 해마다 평균 7개의 허리케인이 강타한 것과 비교

호주 남동부 역대 '최악의 홍수'...4만8000명 고립

호주 남동부 뉴사우스웨일즈주에 역대 최악의 홍수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홍수로 인해 4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4만8000명이 고립됐다.23일 호

펭귄 똥에서 나오는 암모니아...기후변화 영향 줄인다

남극 펭귄들의 배설물(guano)에서 방출되는 암모니아가 기후변화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3일 핀란드 헬싱키대학 매

370마리 남은 북대서양 참고래...저출산으로 사라질 위기

북대서양 참고래가 매년 50마리의 새끼를 낳아야 명맥이 유지되는데 해마다 출산하는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수년 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20일(현지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