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패션 브랜드 대부분이 공급망 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어 투명성 지수에서 '낙제점'이라는 지적이다.
13일(현지시간) 비영리단체 패션레볼루션(Fashion Revolution)은 연매출 4억달러 이상의 250개 패션 브랜드에 대한 투명성 지수를 매긴 '2023 패션 투명성 지수 보고서'(The Fashion Transparency Index, 2023)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많은 패션 브랜드들은 공급망 공개에 아예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기후위기에서 우리를 구할 수 없는 공허한 약속과 야심찬 목표를 제시하는 기득권층이 있으며, 터무니없는 과잉생산, 임금 도둑질, 지구 공유자원의 고갈이 패션업계에서 만연하다"고 비판했다.
패션레볼루션은 패스트 패션, 명품업계, 스포츠웨어, 데님, 액세서리 등 연매출 4억달러 이상의 250개 브랜드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수집했다. 패션 투명성 지수는 이 250개 브랜드의 투명성에 따라 점수를 매기고 이를 백분율로 환산한 것이다.
그 결과, 해외 유명브랜드 톰 포드(Tom Ford)와 막스마라(Max Mara) 등 18개 브랜드가 0~5% 점수를 받았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이 브랜드들은 인권 및 기후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전혀 공개하지 않거나 매우 적게 공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250개 브랜드 가운데 210개 브랜드가 투명성 지수 50% 미만을 받았고, 80% 이상을 받은 기업은 구찌(Gucci)와 OVS에 불과했다.
패션업계는 기후위기 및 수질 등 환경오염 대응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상위 브랜드 94%는 의류제조에 사용되는 연료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6%는 공급망의 일부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고 시인했으며, 9%는 생산라인의 탈탄소화를 위해 취한 조치를 공개했다"고 말했다. 이어 "주요 패션 브랜드의 7%만 공급업체 폐수 테스트 결과를 발표했고, 23%는 물관련 위험평가를 어떻게 실시하는지 공개했다"고 밝혔다.
또 노동자 처우개선 등 ESG '사회' 부문에서도 패션업계는 불투명한 것으로 드러났다. 패션레볼루션은 "올해 주목받는 이슈는 생활임금과 노동자 불평등 문제"라며 "250개 브랜드에 신입 봉급과 주요 공급망에서 생산단위당 임금을 받는 근로자수, 최저임금 이상을 받는 근로자 비율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지만 응답자의 99%는 공급망에서 생활임금을 지급하는 근로자 수를 공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나머지 1%는 현지 최저임금보다는 높은 임금을 제공하지만 생활임금에는 턱없이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고 했다.
다만 보고서는 "긍정적인 움직임도 있다"고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68%의 브랜드가 공급망에서 인권 문제를 파악하는 과정을 공개하고 있으며, 49%는 환경문제에 대한 접근방식을 공유하고 있다. 패션레볼루션은 "지난해 2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입안한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과 같은 기업 감시법이 제정된다면 이러한 증가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패션레볼루션은 "패션업계의 문제는 결코 한 개인, 브랜드 또는 회사에 국한되지 않는다"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전체 시스템을 변화시키기 위해 우리의 목소리를 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