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에 무너지는 산...전세계 인구 25% '산사태 위험'에 노출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6-30 18:03:48
  • -
  • +
  • 인쇄
▲30일 경북 영주시 상망동의 한 주택이 산사태에 매몰됐다. (사진=연합뉴스)

폭우로 전국 곳곳에서 침수와 산사태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전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폭우·산사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전망이 나왔다. 

28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부 산하의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이하 버클리연구소) 연구팀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강우량이 늘면서 북반구 산악지역에 홍수와 산사태, 토양침식 등의 위험에 처하고 있다. 전세계 인구의 25%가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산악지대 강설량은 감소하는 반면 강우량은 증가하면서 폭우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지구 평균기온이 1℃ 상승할 때마다 높은 고도에서 평균 15%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3℃ 오를 경우 강우량이 45%까지 증가한다.

모하메드 옴바디(Mohammed Ombadi) 논문 제1저자는 "산악지역의 폭우가 이미 증가하고 있다"며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산악이나 하류지역에 살고 있어 이같은 위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에 따르면 북반구의 모든 산지가 폭우 위험에 노출돼있으며 그 중에서도 캐스케이드, 시에라네바다와 같은 북미 태평양 산맥과 히말라야, 고위도 지역이 가장 취약하다. 옴바디 저자는 "북미 태평양 산맥은 만년설이 형성되는 기온이 불과 0도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라 기온이 조금만 올라도 이 강설량은 강우량으로 바뀔 것"이라며 다른 산맥보다 폭우에 더 위험하다고 했다.

국내에서도 폭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29일 밤에 전국에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산사태가 발생하고 주택·도로·농경지 등이 침수돼 인명 및 재산피해가 잇따랐다.

특히 경북 영주시에서는 263mm의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면서 주택 및 도로가 물에 잠겼다. 특히 30일 새벽 산사태가 발생하면서 14개월 여아가 주택 안에 매몰됐다. 아이는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졌다.

정전 피해도 속출했다. 경기 봉화군 봉성면에서는 185가구가 정전됐고 소규모 하수처리장 2곳이 하천 범람으로 물에 잠겼다. 광주 동구 계림동의 한 아파트단지 3개 동에서도 정전과 단수 피해가 발생했다.

주택·도로 침수, 차량 고립으로 인한 피해도 속출했다. 광주 동구 지산동에서는 지산유원지 인근 옹벽이 일부 무너져 건물 계단과 난간이 파손됐고 전남에서는 사면 붕괴나 침수 우려 등으로 인해 207세대 303명의 도민이 일시 대피했다.

전북에서는 벼와 논 등이 잠기면서 2028헥타르 규모의 농작물 피해도 발생했다. 전북 익산에서는 지난 29일 오후 일부 도로 및 창고가 물에 잠겼다.

29일 충북 단양군에서는 굴다리를 지나던 차량이 침수돼 멈춰 서기도 했다. 차량에 탑승 중이던 3명은 고립돼있다가 119구조대에 구조됐다. 같은 날 충남 서산시 지하차도에서도 물이 갑자기 불어나는 바람에 화물차에 갇혔던 운전자와 동승자가 구조됐다.

당국은 피해조사 및 피해복구 조치를 취하고 인명피해 우려지역 등에 통제 및 대피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피해 신고 접수와 현장 확인, 조치 등이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 피해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강우량은 29~30일 오전 9시까지 영주(이산) 263㎜, 봉화(봉화읍) 163㎜, 문경(동로) 156.5㎜, 영양군(수비) 150㎜, 봉화(춘양면) 133.2㎜, 울진군(금강송) 112.5㎜에 이르렀다. 영주, 봉화(평지), 울진(평지), 경북 북동 산지에는 여전히 호우주의보가 발령 중이다.

기상청은 7월 1일 오전까지 사흘간 전남권·제주도는 100∼200㎜, 경남권은 50∼120㎜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내일까지도 많은 비가 내리면서 피해가 우려된다"며 "긴장을 늦추지 말고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