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오를 때마다 1.4억명 극한기후 노출...'기후난민' 속출하나?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5-23 16:23:35
  • -
  • +
  • 인쇄
연평균 기온 29℃ 넘으면 '기후틈새' 벗어나
기온 계속 오르면 2030년에 20억명이 피해

지구 기온이 계속 상승하면 덮고 습한 극한기후로 인해 거주지를 이주하려는 기후난민이 수억에서 수십억명씩 속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영국 엑서터대학교(University of Exeter)와 중국 난징대학교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팀은 현재 추세로 진행되면 지표면 평균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2.7℃ 이상 오르는 기후위기 상태가 될 것이며, 2030년까지 20억명의 사람들이 '기후틈새'에서 밀려나 29℃ 이상의 연평균 기온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틈새'는 연평균 기온이 13℃~25℃로, 사람이 살기 적당한 기후를 말한다. 대부분의 인구는 이곳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 범위를 벗어난 지역은 너무 덥거나 춥거나 건조해 사망률 증가, 식량생산량 감소, 경제성장률 저하 등이 발생한다.

연구에 따르면, 현재 기후틈새에서 벗어난 지역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은 대략 6000만명이다. 그러나 지금 추세라면 지구 평균온도가 0.1℃ 상승할 때마다 1억4000만명이 추가로 기후틈새 지역에서 벗어나게 된다.

연구진은 "지구 온도가 2.7℃까지 계속 상승한다면, 기후위기와 인구증가가 맞물려 2030년에는 20억명, 2090년에는 37억명의 인구가 기후틈새 밖에 살게 될 것"이라며 "최악의 시나리오인 3.6℃까지 상승하게 되면 전세계 인구의 거의 절반이 기후틈새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고 경고했다.

논문의 선임 저자인 마르텐 셰퍼(Marten Scheffer) 네덜란드 와게닝겐대학교(Wageningen University) 교수는 "사람들이 기후틈새 밖에 있을 때는 번성하지 않았다"며 "연구진은 기후에 비해 인간의 분포가 얼마나 급격하게 제한돼 있는지에 대해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특히 인도 등 더운 지역에 위치한 인구가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후틈새 밖으로 밀려나 최악의 상황을 겪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재 인도는 9000만명이 평균 기온이 29℃ 이상인 상태에서 살고 있지만, 지구 기온이 2.7℃로 상승하면 이 인구는 6억명으로 늘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인도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필리핀, 파키스탄 등 동남아권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 영향을 받게 된다.

문제는 이같은 상황이 실제로 전개됐을 때 대규모 기후난민이 발생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우려했다. 셰퍼(Marten Scheffer) 교수는 "기후틈새 밖으로 밀려난 사람들은 더 시원한 곳으로 이주하려고 할 것"이라며 "이 인구가 최대 10억명에 이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기후틈새는 현실화되고 있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1991년~2018년까지 여름철 열관련 사망자의 3분의 1 이상이 인간이 초래한 지구온난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징대학교의 치 쉬 교수는 "고온은 사망률 증가, 노동생산성 감소, 인지능력 저하, 학습장애, 임신결과 악화, 농작물 수확량 감소, 분쟁 증가, 전염병 확산 등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들은 "이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1.5℃로 기온상승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급격하게 줄이면 기후틈새 밖에 있는 사람들의 수가 크게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또 연구진은 도심지역에서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도심 녹지공간 조성을 꼽기도 했다.

엑서터대학교의 팀 렌튼(Tim Lenton) 교수는 "이 연구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사람들이 폭염에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는 기후 비상사태의 '엄청난 불평등'을 보여준다"며 "지구온난화의 비용은 종종 재정적 용어로 표현되지만 이 연구는 기후 비상사태에 대처하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심각한 인적비용을 강조한다"고 평가했다.

이에 해당 연구는 학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스웨덴 스톡홀름 환경연구소(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의 리처드 클라인(Richard Klein) 박사는 "이 연구가 잘 보여주는 것은 기후변화가 초래할 수있는 직접적인 고통"이라며 "기후틈새 밖에서 생활한다는 것은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덥고 습한 기후로 인해 고통을 겪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University of Oxford)의 로렌스 웨인라이트(Laurence Wainwright) 박사는 "인간은 특정온도에서 특정지역에 사는데 익숙해져 있다"며 "이 온도가 바뀌면 신체건강, 정신건강, 범죄, 사회불안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첨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22일자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Nature sustainabili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