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재앙' 덮친 파키스탄...전례없는 폭우에 1000명 넘게 사망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8-29 14:48:11
  • -
  • +
  • 인쇄
주택과 도로 등 파괴...3300만명 이재민 발생
"배출량 낮은 국가가 기후재앙...불공평하다"
▲파키스탄 남서부 발루치스탄주 자프라바드에서 한 이재민 가족이 가재도구 등을 짊어지고 폭우로 침수된 지역을 지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런 폭우는 전례가 없는 일이다."

파키스탄이 몬순 우기에 발생한 홍수로 1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3000만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역사상 최악의 기후재앙을 겪고 있다. 셰리 레만(Sherry Rehman) 파키스탄 상원의원 겸 기후변화장관은 "이런 끊임없는 폭우는 전례 없는 일로, 보통의 몬순과 거리가 매우 멀다"며 "지난 10년 사이에 가장 힘든 기후재앙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와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는 매년 6월~9월이 몬순 우기다. 그러나 올해 우기는 예년보다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 우기가 시작되기전인5월부터 비가 내린데다, 폭우의 강도도 세졌다. 특히 파키스탄 남동부 지역의 피해가 컸다. 신드주의 경우는 강수량이 예년보다 784%나 많았다. 비가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내린 탓에 현재 파키스탄 남부는 거의 물에 잠긴 상태다. 

폭우가 파키스탄 4개주를 휩쓸면서 330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약 50만 채에 가까운 집들이 파손됐다. 파키스탄 인구 2억3000만명 가운데 14%가 넘는 사람들이 이번 폭우에 피해를 당했다. 28일(현지시간) 파키스탄 국립재난관리청(NDMA)에 따르면 이번 폭우로 인한 사망자가 어린이 348명을 포함해 1033명에 달했다. 하루에 100명 이상 사망하는 날도 있었다. 

수많은 집들과 도로 등 제반 인프라가 폭우에 휩쓸려가거나 파괴되면서 파키스탄은 사실상 국가 비상사태를 맞고 있다. 핵심인프라가 부족했던 발로치스탄과 신드주가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국토의 절반을 차지하는 발로치스탄주 면적의 최소 75%가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 북서부의 차스다, 노셰라 지역에서는 35만명이 대피했으며 코히스탄은 다른 지역과 완전히 단절됐다. 현지 언론은 최근 24시간 동안 최소 8만3000마리의 가축이 폐사했다고 보도했다.

문제는 이 피해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발로치스탄에는 9월 중순 또 한차례 비 예보가 있어서, 앞으로 폭우에 따른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파키스탄 정부는 군인과 구조대원들을 파견해 지원하고 있지만 최근 심각한 경제난으로 대응에 한계가 있어 국제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다. 빌라왈 부토 자르다리(Bilawal Bhutto Zardari) 파키스탄 외무장관은 파키스탄이 홍수에 대처하려면 막대한 재정적 도움이 필요하다며 농작물도 대부분 파괴돼 자국의 전반적인 경제상황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호소했다. 이에 유엔(UN) 등 국제기구에서 긴급자금을 동원해 파키스탄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홍수피해는 지난 2010년 2000명 이상이 사망하고 파키스탄 국토의 약 5분의1이 물에 잠겼던 기록을 깬 것으로 평가됐다. 셰리 레만(Sherry Rehman) 파키스탄 상원의원 겸 기후변화장관은 "2010년 홍수보다 더 최악의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편 파키스탄은 NGO저먼워치(NGO Germanwatch)의 세계기후위험지수에서 8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기후위험지수는 기후위기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판단된 국가를 순위별로 나열한 목록이다.

이 파키스탄 당국은 파키스탄이 세계 다른 곳에서 자행한 무책임한 환경파괴의 결과를 부당하게 지고 있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무스타파 나와즈 코하르(Mustafa Nawaz Khokhar) 상원의원은 "전세계 배출량의 1% 미만인 국가가 기후재앙을 받는 쪽이라는 것은 매우 불공평하다"고 일침을 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 임직원들, 조류충돌방지 스티커 부착 활동

셀트리온이 인천녹색연합과 함께 야생조류 보호를 위한 ESG 활동을 펼쳤다.셀트리온은 지난 25일 인천 영종도 일대에서 지역 시민단체인 인천녹색연합

코오롱 사장단 임원인사...40대 신규임원 대거 발탁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에 코오롱ENP 김영범 사장을 내정하는 등 코오롱그룹이 24일 올해 정기인사를 일찌감치 단행했다.신임 김영범 코오롱글로벌 대

기후적응 신품종 개발한 CJ제일제당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 수상

기후대응 신품종을 개발한 CJ제일제당이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를 수상했다. CJ제일제당은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가 주관하는 '제15회 기후변

러쉬, 해양플라스틱 재활용 용기 도입...글로벌 뷰티업계 최초

프레쉬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LUSH)가 글로벌 뷰티업계 최초로 '오션 플라스틱 방지 인증(Prevented Ocean Plastic™, 이하 POP)' 용기 비중을 늘

해킹 피해 안당했다더니...LG유플러스 서버도 뚫렸다

LG유플러스도 서버가 해킹 당한 정황을 사이버 보안당국에 신고했다. 이에 따라 국내 이통3사가 모두 사이버침해를 당했다.23일 연합뉴스는 LG유플러스

LG CNS, 난민 돕는다...유엔난민기구에 AI법률지원 서비스 기부

AX전문기업 LG CNS가 유엔난민기구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난민 법률지원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이를 기부한다고 23일 밝혔다. AI 기술을 통해 법률서비

기후/환경

+

“기후대응이 수익구조로 변질”…브라질 연구진 '기후상품화' 비판

브라질 연구진이 기후대응이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이윤 중심으로 흐르고 있다며 경각심을 촉구했다.27일(현지시간) 브라질의 환경정책 연구기관 클

바다 떠다니는 플라스틱…가라앉으려면 '100년 이상' 걸린다

바다에 둥둥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저로 완전히 가라앉는데 최소 100년 이상 걸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런던퀸메리대학교 지리·

탄소배출권 수익으로 생태복원...호주에서 생태경제 모델 시험

호주가 탄소배출권 수익을 활용해 생태계 복원에 나서는 새로운 모델을 선보였다.27일(현지시간) 호주 비영리단체 부시 헤리티지 오스트레일리아(Bush H

[날씨] "패딩 꺼내 입으세요"...28일 아침 영하권 날씨

북쪽에서 찬공기가 유입되면서 월요일인 27일 아침 기온이 한기를 느낄 정도로 차가워졌다. 그러나 화요일인 28일 아침은 기온이 더 떨어져 영하권으로

김장 배추값 또 폭등?...잦은 비에 배추농사 무너졌다

올가을에도 잦은 비로 인해 배추 작황이 나빠지면서 김장배추 가격이 치솟을 조짐이다.농촌진흥청 관계자는 27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기상이 평년보다

'슈퍼태풍' 배후는 석유기업?..."소송으로 기후책임 묻는다"

석유화학 기업들이 기후변화를 일으킨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소송을 당하거나 패소하는 등의 사회적 책임이 가해지고 있다. 필리핀의 슈퍼태풍에서 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