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원주민 위협하는 불법 개발…왜 멈추지 못할까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2-14 08:40:02
  • -
  • +
  • 인쇄
그린피스, 브라질 최대 보호구역서 또 적발
채굴업자들이 마을 초토화…빈곤의 악순환

브라질 아마존 최대의 원주민 영토를 불법 개발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1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와 브라질 TV방송사 글로보(Globo)는 불법 채굴업자들이 브라질 원주민 보호구역 야노마미(Yanomami) 영토에 굴삭기를 밀반입할 목적으로 120km의 불법도로를 파냈다고 보도했다.

브라질 보호구역 정찰을 맡은 국제 환경보호단체 그린피스(Greenpeace)는 카트리마니 강(Catrimani River)에서 굴착기 3대가 금광을 파낸 현장을 포착했다. 인근 개간지에서는 네 번째 굴착기가 원주민 야노마미족과 예콰나족 약 2만7000명의 거주지를 파괴하고 있었다. 다니엘리 데 아귀아르(Danicley de Aguiar) 그린피스 환경운동가는 마을 중 하나가 불법도로에서 불과 10마일 떨어진 곳에 있다며 우려를 드러냈다.

야노마미 영토는 브라질 아마존 최북단에 위치한 포르투갈 크기의 거대한 원주민 보호구역이다. 이곳 영토에서 중장비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아귀아르 운동가는 영토 내에 최소 4대의 굴삭기가 있을 것으로 보며 이 통로를 "혼돈으로 가는 길"이라 칭했다.

소니아 구아자자라(Sônia Guajajara) 원주민 지도자는 불법 채굴업자들이 최근 브라질 대통령선거에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된 틈을 타 장비를 몰래 들인 것으로 의심했다.

이러한 침입은 이미 반세기 전부터 정치적으로 결탁한 광산갱단에 의해 이어져왔다. 1970년대와 80년대 군부독재정권이 브라질인들에게 야노마미 지역을 점령하도록 부추기면서 가림페이로스(garimpeiros)라 불리는 영세광부들이 주석과 금을 찾아 야노마미 땅으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이는 야노마미족에게 재앙이었다. 삶과 전통이 파괴되고 인플루엔자와 홍역에 마을이 초토화됐다. 인권단체 서바이벌인터내셔널(Survival International)에 따르면 불과 7년 만에 부족의 약 20%가 사망했다.

이에 1990년대 초 일어난 국제적 항의는 '셀바 리브르(정글 해방)' 작전으로 이어져 광부 수만 명을 퇴거시켰다. 국제적인 압력으로 당시 브라질 대통령인 페르난도 콜로르 데 멜로(Fernando Collor de Mello)는 야노마미 지역에 960만 헥타르의 보호구역을 만들었다.

이러한 노력은 초창기 성공을 거뒀으나 이후 10년간 금값 급등, 느슨한 집행, 그리고 극심한 빈곤으로 가림페이로스가 돌아오게 만들었다. 불법개발은 2018년 극우파 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가 대통령에 당선된 후 더욱 활개를 쳐 야노마미 영토 내 광부 수는 약 2만5000명에 달했다. 주니오르 헤쿠라리 야노마미(Júnior Hekurari Yanomami) 야노마미 지도자는 보우소나루가 침략자들을 대담하게 만들고 브라질의 환경·원주민보호기관을 마비시켰다고 비난했다.

그로부터 3년이 지난 현재 유압식 굴착기가 등장하고 불법도로가 생기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게다가 일부 마약파벌에 연루된 것으로 의심되는 광부들은 성폭력, 말라리아 발병, 보건소 폐쇄 등을 일으켜 원주민 어린이들을 심각한 질병과 영양실조에 노출시켰다. 약 150척의 불법 채굴선단은 강들을 수은으로 오염시켰다.

야노마미 영토 보호임무를 맡은 알리송 마루갈(Alisson Marugal) 연방검사는 브라질 환경보호청 이바마(Ibama)가 산발적 단속을 벌여 불법 활주로와 헬기, 비행기 등을 불태웠지만 업자들 입장에서는 단속으로 인한 벌금보다 채굴로 벌어들이는 이득이 더 큰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조종사들만 해도 광부 및 물자, 성노동자들을 실어 나르는 대가로 최대 100만 헤알(우리돈 약 2억 4498만 원)을 받으며 업자들은 훨씬 더 큰 이익을 벌어들인다는 것이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 브라질 차기 대통령은 가림페이로스를 몰아내고 보우소나루 정권 하에서 급증한 삼림벌채를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마루갈 검사는 정치적 의지가 있다면 야노마미 땅에서 불법채굴을 근절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야노마미 헤쿠라리도 1월 집권 예정인 새 정부의 대규모 연방 개입을 희망하면서도 가림페이로스를 무찌르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광부들이 "삽과 도끼를 들고 다닐 뿐만 아니라 소총과 기관총으로 무장했으며 모든 기지에 육군, 연방 경찰, 헌병대가 쓰는 종류의 무기로 중무장한 경비원들이 있다"고 전했다.

아귀아르 운동가는 빈곤 극복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라고 주장했다. 근본적인 정책이 수반되지 않는 한 군사적 단속만으로는 장기적으로 성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행동하지 않으면 수천 년간 열대우림서 살아온 사람들을 말살하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루갈 검사는 야노마미의 전망이 암울하다고 전하며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이 원주민 땅을 잃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름다운가게, 수익나눔 '2026 희망나누기' 파트너 공모

비영리 공익법인 아름다운가게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파트너 단체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26 아름다운 희망나누기' 사

"굳이 2교대를?" 李대통령 지적에...SPC '8시간 초과 야근' 없앤다

SPC그룹이 생산직 야근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해 장시간 야간근로를 없앤다.SPC그룹은 지난 25일 경기도 시흥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기후/환경

+

미국과 멕시코 ‘물 전쟁’ 종료…티후아나강 하수차단 합의

20년 넘게 국경을 오염시켜온 티후아나강 하수 문제가 마침내 해결 수순에 들어갔다. 미국과 멕시코는 2027년까지 원시 하수 유입을 전면 차단하기로 합

기후·환경정보 한눈에...'경기기후플랫폼' 서비스 시작

경기도에서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어디가 가장 좋을까? 전기요금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내 주변 가장 가까운 폭염대피소는 어디지? 이런 질

기록적 폭염이 키운 산불...그리스·튀르키예 동시다발 산불에 '아비규환'

그리스와 튀르키예 전역에서 대형 산불이 동시다발 발생해 수십명이 대피하고,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그리스는 전국에서 화재 진압이 이어지

동부 40℃ 폭염, 서부 알래스카급 냉기…'이상기후'에 갇힌 美

미국 전역이 극단적인 이상기후에 휩싸였다. 동부와 중서부는 6월에 이어 또다시 열돔에 갇혀 체감온도가 40℃를 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반면, 서

[날씨] "이러다 40℃ 넘겠다"...폭염 기세 더 맹렬해진다

지난 주말 일부 지역에서 한낮 최고기온이 40℃에 육박하는 맹렬한 폭염이 이번주 내내 이어진다. 한낮기온이 매일 정점을 찍으며 올라가는 '극한폭염'

녹색철강, 수요 있어야 전환도 있다..."정부가 공공조달 물꼬 틔워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정부의 녹색철강 수요 창출이 전환을 이끄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