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고래의 기후위기 대응법…이주시기 늦춘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0-26 08:46:02
  • -
  • +
  • 인쇄
계절이동 지연…북극에 적응 가능성
"기후변화로 얼음에 갇혀 죽을 수도"
▲바다를 유영 중인 일각고래 (사진=위키백과)

일각고래가 이주시기를 늦춰 기후위기에 적응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윈저대학 연구팀은 기후위기 영향으로 일각고래가 계절이동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연구보고서를 2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해당 고래종은 변화하는 북극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긴 나선형 엄니를 지녀 '바다의 유니콘'이라는 별명이 붙은 일각고래는 그린란드와 캐나다, 러시아의 북극해에서 주로 서식한다. 이들은 9월 말에서 11월 중순 사이 더 깊은 바다로 이동하기 전 얼음이 없는 해안지역에서 여름을 보낸다.

연구팀은 1997년부터 2018년까지 일각고래 40마리의 위성데이터를 조사해 캐나다 북극 주위 이동경로 및 여름 이동시기를 조사하고 이를 지역의 온도 및 얼음형성 변화추이와 비교했다.

그 결과 일각고래는 1997년 이후 10년마다 약 10일씩 이동시기를 미뤄 총 17일 지연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주 초기단계에서 평균 약 4일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관찰됐다.

연구의 저자인 코트니 슈어트(Courtney Shuert) 윈저대학 연구원은 일각고래의 이주 지연이 그 지역의 해빙경향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그는 일각고래들이 "이동을 지연하는 일반적인 경향과 더불어 이동시기 결정에 유연성을 갖춘 것으로 보이며, 이는 그들이 기후경향을 폭넓게 파악해 이동방식을 바꾸고 있음을 뜻한다"고 분석했다.

평균수명 약 50년, 길게는 100년까지 사는 일각고래는 수명이 짧은 종에 비해 유전적 진화속도가 느려 기후위기의 영향에 더 취약하다. 따라서 이들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다.

하지만 슈어트 연구원은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이 빈번해지면서 고래들이 얼음에 갇힐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매년 일각고래들이 해안을 늦게 떠날수록 '육지정착빙(landfast ice)'에 갇힐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다. 정착빙은 해안선을 따라 해저나 육지에 형성되는 고정된 해빙으로, 특히 육지정착빙은 해양동물이 수면에 떠오르지 못하게 만든다. 슈어트 연구원은 "얼음에 갇히면 최대 수백 마리의 개체가 죽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뿐만 아니라 연구팀은 이주시기가 늦춰지면 범고래와 같은 포식자 및 항해 중인 선박과도 조우할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슈어트 연구원은 "현재 북극의 변화속도가 진화를 통한 동물들의 적응속도보다 빨라 많은 동물들에게 큰 우려가 되고 있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행동유연성을 제시하며 변화에 맞서 종의 적응력을 강화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주패턴 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후변화는 조류와 육지포유류의 이주패턴도 변화시키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녹색수송 사업에 투입"

신한은행은 22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1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한국형 녹색채

"영농형 태양광, 활성화하려면 '농민·농업' 중심 정책 일관돼야"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려면 농민과 농업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단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최근 정부는 농촌 인구소멸과 에너지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外근로자 8일만에 깨어나..."음식물도 섭취"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에서 감전을 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던 30대 미얀마인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했다는 소식이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

쿠팡 물류센터 50대 근로자 사망...쿠팡 산재로 번질까 '화들짝'

연일 35℃에 달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21일 연합

기후/환경

+

아마존 보호해제...브라질 '콩 모라토리엄' 19년만에 중단

COP30 의장국인 브라질이 '콩 모라토리엄'을 19년만에 중단하면서 아마존 열대우림이 파괴될 위기에 처했다.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브라질

'나무' 심는 지역에 따라 온도 낮추는 '냉각효과' 다르다?

열대지방에 나무를 심으면 다른 지역에 비해 이산화탄소 흡수 및 기후완화 효과가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우주 태양광' 무탄소 전력의 대안?..."유럽 재생에너지 80% 대체 가능"

정지궤도 위성에서 수집한 태양광(SBSP)으로 전력을 생산하면 유럽지역 재생에너지의 80%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우주 태양광'이 무

트럼프, 폐쇄 예정인 석탄발전소 강제 재가동...비용은 소비자몫

재생에너지를 배척하고 화석연료를 지지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에는 폐쇄 예정이던 석탄발전소를 강제로 재가동시켰다.20일(현지시간

경기도 시군과 기후위기 공동대응 위해 ‘기후소통 한마당' 개최

경기도가 시군과 기후위기를 공동대응하기 위해 22일 '기후소통 한마당'을 개최했다. 기후위기 대응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기후정책 실행력 제고 방안

되살아난 태풍 '링링' 日 규슈 강타...우리나라 영향은?

열대저압부로 소멸할 것으로 예상했던 제12호 태풍 '링링'이 세력이 되살아나 일본 남쪽지역을 강타하기 시작했다.일본 기상청과 현지언론에 따르면 '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