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해 변화 '충격적'...산성화 속도 '4배 빠르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9-30 16:59:09
  • -
  • +
  • 인쇄
해빙 급격히 녹으며 CO2 흡수 촉진
북극해 해양생물 산성화로 악영향

북극해가 다른 대양보다 3~4배 빠르게 산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지메이대학 극지해양연구소와 미국 델라웨어대학 해양과학정책대학원 연구진은 지난 30년동안 북극의 해빙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산성화 속도가 빨라졌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얼음이 녹으면서 바닷물이 대기에 노출돼 다른 대양 해역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것이다.

바다는 대기중에 있는 이산화탄소의 3분의1을 흡수한다. 그런데 화석연료 사용이 늘어나면서 바다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덩달아 늘어나 급속히 산성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연구의 주요저자인 웨이쥔 차이(Wei-Jun Cai) 델라웨어대학 해양화학전문가는 "보통 해양산성화는 대기중 이산화탄소 증가로 진행되는데 이는 매년 약 2ppm(100만분의 1)의 비율로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극은 산성화 진행속도가 더 빨랐다. 연구팀이 1994년~2020년 수집된 데이터를 다른 대양과 비교해본 결과, 북극해는 산성화가 훨씬 더 빨리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차이 박사는 그 변화속도가 "충격적인 수준"이라며 북극 해빙이 계속해서 사라지면 이 과정이 향후 수십 년간 지속되고 심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43년동안 북극의 기온은 지구평균보다 약 4배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지난 8월에 발표되기도 했다. '북극증폭(Arctic Amplification)'으로 알려진 이같은 온난화 현상은 해빙이 녹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해양산성화를 더욱 촉진한다.

차이 박사는 "얼음이 녹으면 바닷물의 알칼리 농도가 희석되거나 낮아져 완충능력, 산성화 저항력을 희석시킨다"며 "이렇게 변한 바닷물은 해양생물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해수의 낮은 pH 또는 산도가 많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고 일부 유독물질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는 "생물학적 시스템 비용이 얼마인지 알지 못하고 어떤 유기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도 모른다"며 "생물학계에서 이 문제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