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항공권 가격...소비자도 항공사도 '괴롭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9-27 08:30:02
  • -
  • +
  • 인쇄
정제 능력 떨어지고 우크라 전쟁까지 겹쳐
IATA사무총장 "여러 문제로 가격 더 오를듯"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사무총장이 연료정제의 한계 및 항공사 재정문제로 인해 항공권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윌리엄 월시(William Walsh) IATA 사무총장은 팬데믹 기간 연료정제 능력은 감소한 데 비해 연료 수요는 증가해 항공유 가격이 상승했다고 최근 미국 CNBC를 통해 밝혔다.

항공권 가격은 지난 1년동안 25% 급등했는데 이는 1989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다.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4월에만 항공료가 18.6% 급등했다.

미국의 정제능력은 2019년 정점을 찍은 이후 2022년 5.4% 감소해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제소 폐쇄 및 재생가능한 연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같은 하락세가 나타난 것이다.

월시 사무총장은 정제능력의 하락세가 가격의 상승세로 이어져 항공업계에 타격을 입힌다고 우려했다. 그는 항공권 가격을 올려도 항공사가 반드시 이익을 내는 것도 아니며 그만큼 많은 항공사들이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런가 하면 악바르 알 베이커(Akbar Al Baker) 카타르항공 CEO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항공권 가격인상의 요인으로 보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러시아의 부분적 군사동원을 발표해 러시아 국민과 경제가 전시체제에 놓이게 만들었다. 푸틴 대통령의 발표 이후 유가는 우크라이나전쟁 격화 및 석유·가스 공급부족 우려로 2% 이상 급등했다.

알 베이커 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항공사들의 최대 관심사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확대라고 밝혔다. 그는 "갈등이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해 공급망을 압박하고 결과적으로 승객이 줄어들 것"이라며 "유가의 불안정성 또한 항공이용률을 떨어트릴 것"으로 우려했다.

이에 항공업계는 저렴하고 지속가능한 연료를 희망하고 있다. 알 베이커 CEO는 카타르항공이 '합리적 가격'을 전제로 "지속가능한 항공연료에 투자할 준비가 돼 있다"며 대체연료에 대한 더 많은 투자를 요구했다.

현재 항공산업에서 쓰는 연료는 플루오르화 가스라고도 알려진 F-가스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인공가스다. 알 베이커 CEO는 "현재 대체연료 가격은 일반 F-가스의 무려 4~5배"라며 "경제성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강제로 연료를 전환한다면 그 가격은 승객에게 고스란히 전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월시 사무총장 또한 환경 문제를 언급하면서 기존 정유공장보다 지속가능한 항공연료 생산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지난해 IATA는 전세계 항공운송산업이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제로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IATA 측은 "지속가능한 항공연료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