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밥상 덮친 '폭염·가뭄'...국내 도미노 물가상승 '우려'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6-14 15:43:31
  • -
  • +
  • 인쇄
밀 주요생산국 모두 가뭄으로 생산량 감소
국제 쌀값도 '불안'...국내 밥상물가도 들썩
▲서울의 한 마트(사진=연합뉴스)


미국이 '고물가 쇼크'로 경제가 패닉 상태에 빠지는 등 전세계가 물가폭등으로 신음하면서 국내 밥상물가에도 이상기류가 흐르고 있다.

현재 전세계는 곡물과 채소값이 크게 오르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값이 폭등한 가운데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과 가뭄이 전세계 곡창지대를 강타하면서 식량 가격까지 치솟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표적인 밀 생산국인 중국과 인도, 미국, 프랑스 등이 심각한 가뭄으로 전년보다 밀 수확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밀 자급률 1% 미만인 국내 밥상물가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제분업계의 주요 수입국인 미국은 가뭄으로 생산량이 8% 줄었고, 프랑스도 가뭄으로 밀 수확량이 크게 줄었다. 우리나라가 밀을 직접 수입하지 않는 인도의 경우도 50도를 치솟는 폭염으로 밀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지난 13일 밀 수출을 전면 금지시켰다. 밀을 수출하려면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인도 정부가 자국 식량확보에 나선 것이다. 우리나라가 사료용 밀을 52%로 수입하는 우크라이나는 전쟁으로 밀 수확량이 35%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난 5월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의 밀 선물 가격은 한때 전일보다 5.9% 오른 부셸당 12.47달러에 거래되기도 했다. 국내도 이 여파가 미쳐 CJ제일제당의 백설 찰 밀가루(1kg) 가격은 대형마트 기준 3월 평균가격 1955원에서 6월 2240원까지 올랐다. 석달 사이에 약 15% 오른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난지 며칠이 지나지 않은 3월부터 밀가루 가격은 계속 오름세다.

이미 국내에서는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가공식품 물가도 10년 4개월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그런데 앞으로 밀 수급이 어려워지면 밀가루 가격은 계속 오르면서, 라면과 빵, 과자 등 식료품 가격인상을 초래할 것이 자명하다. 올초 줄줄이 인상됐던 라면값은 연말쯤 또다시 오를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사료용 밀의 가격이 상승하면 소고기, 돼지고기 등 육류가격 인상으로 이어진다. 미국 육류가공업체 타이슨푸드는 소고기 가격을 24% 인상했다. 이에 지난 11일 맥도날드 등 미국의 음식점들은 비용 상승을 이유로 식료품 가격을 더 올리기로 결정했다. 사료용 곡물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도 축산농가의 원가상승으로 소고기, 돼지고기 가격상승을 예고하고 있다.

우리나라 주식인 쌀값도 국제시장에서 들썩이고 있다. 밀이 부족하면 쌀로 주식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쌀 수요가 급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인도는 지난달 밀과 설탕을 수출금지한데 이어, 쌀까지 수출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국제 쌀 가격은 최근 5개월 연속 완만히 상승해 이미 12개월 내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의 올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2%로 34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8.6%로 41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특히 미국은 면화 생산의 절반을 담당하는 텍사스 지역이 역대급 가뭄이 발생하면서 면화 생산에 차질이 생겨 솜이 들어가는 생리대 품귀현상까지 겪고 있다. 미국의 '고물가 쇼크'는 전세계로 파장이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우리나라 역시 6개월 내내 비가 거의 내리지 않으면서 50년만의 가뭄을 겪고 있어, 농작물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수입 농산물에서 국내 농산물에 이르기까지 동시다발적으로 가격이 오르게 되면 결국 밥상물가는 치솟을 수밖에 없어 보인다. 이에 정부도 부랴부랴 물가안정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까지 뾰족한 대책은 없어 보인다. 이런 가운데 메리츠증권은 올해 한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을 지난달 4.3%에서 4.7%로 상향했다. 

한편 정부는 치솟는 밥상 물가 및 생활물가에 대처하기 위해 물가민생안정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오는 16일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기후/환경

+

'日 대지진' 예언날짜 지났지만...여전히 불안한 주민들 '탈출러시'

'일본 대지진'이 일어날 것으로 예언된 7월 5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일본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를 중심으로 지진이 이어지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대피

폭염을 이기지 못한 아스팔트...아이스크림처럼 '흐물흐물'

폭염을 이기지 못하고 도로 아스팔트가 녹아내리는 일까지 벌어졌다.지난 4일 뉴스1에 따르면 울산 북구 농소초등학교 앞 버스정류장 근처에서 도로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