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선진국들, 개도국 탄소중립 지원해야"
세계 주요국들이 '탄소중립'으로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맞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또 '탄소중립'을 위해 지금이 매우 중요한 시기라는 인식을 같이 했다. 특히 '기후변화' '사막화와 토양의 황폐화' '생물다양성 손실'을 가장 큰 세가지 환경문제로 꼽았다. 아울러 해양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적 결속이 필요하다는 데에도 뜻을 함께 했다.
한국이 처음 개최한 환경 분야 다자 정상회의인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가 이틀간의 일정을 마치고 31일 '서울선언문' 채택이라는 성과를 남기고 폐회했다. 마지막 날인 31일 참가국들은 정상토론 세션에서 기후대응 정책을 소개하고 국제 연대 방안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참가국들은 선언문에서 "코로나19는 미래지향적 전략인 녹색회복을 통해 극복돼야 한다"며 "녹색회복은 공정한 전환을 담은 포용적 과정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뜻을 모았다. 이어 "이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사회적으로 취약한 집단을 위한 금융지원을 고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선언문에는 우선 "기후위기를 환경문제를 넘어서 경제, 사회, 안보, 인권과 연관된 과제들에 영향을 미치는 시급한 국제적 위협으로 간주한다"며 "코로나19와의 싸움이 국제적 기후위기 대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믿으며, 코로나19는 미래지향적 전략인 녹색회복을 통해 극복돼야 한다고 본다"고 명시했다. 특히 2020년 12월 기후목표 정상회의, 올해 1월 기후적응 정상회의, 4월 기후정상회의에서 발표된 기후변화 대응 공약이 다른 국제무대에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며 파리협정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협력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참가국들은 물, 에너지, 식량·농업, 도시, 순환경제 5개 분야에서의 민관 협력을 통해 P4G가 유엔 주도의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국제사회 노력을 보완하는 시장기반의 실질적인 해결책을 확대해 왔음을 인정, P4G에 대한 더 많은 지원을 독려하기로 했다. 아울러 개별 국가의 다른 상황과 사회·환경적으로 취약한 집단을 고려해, 녹색회복이 공정한 전환을 담은 포용적인 과정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선언문에 따르면 참가국들이 동시대의 가장 큰 세가지 환경문제로 꼽은 것은 '기후변화' '사막화와 토양의 황폐화' '생물다양성 손실'이다. 이번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이 문제들을 자연기반해결책(NBS)을 포함한 생태계 기반 접근방식과 같이 공동의 이익을 최대화하고 손실은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권장했다. 아울러 해양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적 결속이 필요하다는 데에도 동의했다.
국제적 민관 협력을 위한 다양한 방안도 논의됐다.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위한 투자 ▲태양, 풍력 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 ▲탈석탄과 해외 석탄발전소 건설에 대한 공적 금융 중단을 위한 방법 모색 ▲탄소 감축이 어려운 분야에서 청정수소 사용 촉진 ▲물-에너지-식량 연계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농업과 식품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 ▲스마트하고 회복력 있는 녹색도시 추구 ▲사용된 자원이 경제에 재투입되는 순환경제 모델 구축과 확산 ▲녹색투자를 위한 공공과 민간의 자금 유입 확대 독려 ▲기후위기 대응 역량이 결여된 사회적으로 취약한 노동자와 집단을 위한 금융재원 지원 고려 ▲지방자치단체간의 연대 장려 등이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31일 정상 토론세션에서 "화석연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개발도상국에게는 탄소중립의 길이 매우 어렵다"며 "선진국들이 지원을 늘려 개발도상국의 부담을 함께 나눠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 협력사무소 및 녹색기술센터를 통한 개도국의 친환경 기술 확보 지원, 기후 분야 공적개발원조(ODA) 확대 등을 약속했다.
한국의 그린뉴딜 사업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특히 정부와 민간, 지자체 등의 협력을 중요시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그린뉴딜을 국가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2025년까지 650억달러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려 한다"며 "민간의 참여를 이끌고 혁신 노력을 뒷받침하는 데 정책의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남 신안의 세계 최대 해상풍력단지 조성, 울산의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및 그린수소 생산시설 건설 등을 대표 사례로 소개하면서는 "주민과 기업이 협력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한국의 그린뉴딜이 좋은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차기 P4G 정상회의는 2023년 콜롬비아에서 열린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