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정책

thumbimg

韓 환경보호 지출액 42조원...폐수처리가 15.7조
우리나라가 2019년 정부와 민간이 환경보호에 지출한 비용이 42조원이 넘었다.환경부는 2019년 국민환경보호지출액이 국내총생산(GDP)의 2.18%인 42조219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2018년 40조9664억원에 비해 3.1% 증가했다. 국...2021-12-29 14:52:14 [차민주]

thumbimg

내년 신재생에너지 의무비율 12.5%로 상향 조정...2026년까지 25%로 늘린다
정부가 2022년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비율을 당초 예정됐던 10%에서 12.5%로 상향 조정했다. RPS 상향안을 담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 28일 국무회의...2021-12-29 12:02:01 [이재은]

thumbimg

EU '최대 성장' 했다는데…산으로 가는 '韓 태양광'
2021년 유럽연합(EU)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이 전년대비 34% 증가하면서 올해가 태양광 에너지 시장에 있어 '대발전의 해'로 평가됐다.무역기구 유럽태양에너지협회(Solar Power Europe)가 최근 발간한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EU ...2021-12-28 16:13:14 [이재은]

thumbimg

탄소감축 안하면 60년후 한반도 '한해 절반이 여름된다'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으면 60년 이후 우리나라 한해 절반이 여름이 될 수 있다.기상청이 국내 6개 권역(수도,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에서 벌어지게 될 기후변화에 관한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지금처럼 탄소를 배출했을 경우에 2081~2100년에 이르...2021-12-24 11:39:34 [이재은]

thumbimg

정부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 이행안 UN에 제출
정부가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40% 감축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3일 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했다. 정부의 기존 NDC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26.3%였다.&n...2021-12-24 10:24:29 [백진엽]

thumbimg

대구시 '2050 탄소중립' 선언…2040년까지 탄소배출 70% 줄인다
(사진=대구시) 대구시가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수립, 이행 전략을 발표했다.대구시는 14일 오후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시 2050 탄소중립 전략 시민보고회'에서 '시민중심! 탄소중립 선도도시 대구'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날 보고회는 시민과...2021-12-15 16:00:16 [백진엽]

thumbimg

"기후위기는 안보위협"...UN안보리 결의안 러시아 거부로 부결
▲1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손을 들어 거부권을 행사하는 바실리 네벤지아 유엔주재 러시아 대사 (사진=연합뉴스) 기후위기를 국제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지정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첫 결의안이 러시아의 반대로 부결됐다.13일(현...2021-12-14 15:43:55 [이재은]

thumbimg

"기본소득은 노예제 폐지·선거권 이은 21세기 인권선언"
▲ 10일 오전 10시 국회본관 앞 야외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기본소득당 당원들 "전세계 자산 76%를 소득상위 10% 부자들이 차지하고 있고, 소득하위 50%의 자산은 2%에 불과한 불평등 시대에 기본소득은 21세기 인권선언이다."10일 '세계 인권의...2021-12-10 12:00:26 [이재은]

thumbimg

韓, 50년후 인구절반이 고령화...생산연령인구는 '반토막'
▲장래 인구추계 중 생산연령인구와 총인구 (자료=통계청) 50년 후인 2070년에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이 만 65세 이상이 차지하고, 경제를 지탱하는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지금의 절반으로 뚝 떨어진다. 특히 경제활동이 가장 왕성한 25~49세...2021-12-10 11:39:57 [백진엽]

thumbimg

'지역에너지센터' 내년에 2배 늘린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의 에너지 정책역량 강화를 위해 현재 25개인 기초지자체 지역에너지센터를 내년에 50개로 확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6일~10일 탄소중립 주간을 맞아 8일 개최한 '제5차 탄소중립 에너지 정책포럼'에...2021-12-08 18:08:07 [차민주]

thumbimg

김교성 교수 "점진적 기본소득 확대로 소득격차 메워야"
▲8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2021년 제6차 세미나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긍정전략과 변혁전략'이 열렸다. 왼쪽부터 오준호 기본소득당 대선 후보, 김교성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광주시갑), 윤영덕 국회의원...2021-12-08 16:40:41 [이재은]

thumbimg

이래서 탄소발자국 줄어들까?...환경부 "이메일 삭제인증 SNS로 올려라"
이달 6일~10일 탄소중립 주간을 맞아 정부가 펼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이기 일환으로 진행하는 이메일 삭제 캠페인이 되레 탄소배출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탄소중립 주간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환경부를 주축으로 탄소중립위원회 등 범정부...2021-12-06 18:09:05 [차민주]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